ADVERTISEMENT

정확성 낮은 신속항원검사 우려에…당국 "소수의 가짜 음성 감수"

중앙일보

입력

3일 오전 서울 광진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 마련된 신속항원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자가진단키트를 이용해 검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3일 오전 서울 광진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 마련된 신속항원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자가진단키트를 이용해 검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3일부터 60세 이상, 밀접접촉자 등 고위험군이 아니라면 신속항원검사를 먼저 받게 된다. 기존 PCR 검사보다 콧속 얕은 곳에서 검체를 채취해 진단키트에 넣어 30분 이내에 코로나19 확진 여부를 알 수 있는 검사 방식이다. 15~30분이면 결과가 나온다. 다만, 정확도가 PCR검사보다 낮다. PCR 검사는 채취한 검체 속 바이러스 유전자를 증폭시켜 판단한다. 이 때문에 아주 적은 양의 검체로도 양·음성 여부를 알 수 있다. 신속항원검사는 증폭 없이 검체 속 바이러스 여부를 따진다. 코로나 감염자라도 증상이 미약하거나, 검체를 제대로 채취하지 못하면 음성이 나올 수 있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감염된 사람이 신속항원검사를 하면 41.5% 확률로 양성이 나오게 된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이혁민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과 교수는 "일반인이 신속항원검사 키트로 직접 하면 그보다 10~20% 더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이 검사에서 가짜 음성을 받은 이들이 나올 수 있고, 이들이 감염 사실을 모르고 추가 전파시킬 수 있지만 방역당국은 이를 감수하겠다는 입장이다.

자가검사키트, 4명 중 1명꼴로 '가짜 양성'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지난달 26일부터 닷새 동안 4개 지역(광주, 전남, 경기 평택, 경기 안성) 선별진료소에서 자가검사키트로 진행한 신속항원검사는 총 8만4000건이다. 이 중 양성으로 나온 687건에 대해 PCR 검사를 했더니 523건(76.1%)이 최종 양성으로 나왔다. 나머지는 가짜 양성이었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신속항원검사 양성 건이 PCR 검사 음성으로 23.9%가 나온 이유는 검사법에 있어서 정확도의 한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고 했다.

3일 대전의 한 보건소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소에서 의료진이 시민들에게 수거한 자가진단키트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김성태

3일 대전의 한 보건소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소에서 의료진이 시민들에게 수거한 자가진단키트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김성태

정확도 낮은 신속항원검사…"문제는 가짜 음성" 

정확도가 떨어지는데도 신속항원검사로 검사 체계를 돌리는 이유에 대해 정부는 PCR 검사 여력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확진자 급증으로 PCR 검사가 밀리면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고위험군만 PCR을 받도록 하고 나머지는 신속항원검사로 대체한 이유다.

문제는 '가짜 음성(위음성)'이다. 실제 감염자가 음성으로 나와도 현재로써는 이를 보완할 후속 조치가 없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3일 브리핑에서 "(신속항원검사) 음성은 일단 '음성으로 인정해 간주한다는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일부 나타나는 소수의 위음성은 감수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혁민 교수는 "(신속항원검사로 놓친 감염자) 두세 명이 다른 사람들을 감염시키고, 이렇게 사회 전반의 감염을 놔두게 되면 결국은 고령층과 고위험군으로 옮아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신속항원검사는 PCR보다 (바이러스가) 1000배, 10000배는 많아야 양성으로 나오기 때문에 초기, 바이러스양이 적을 때는 (바이러스가)있어도 못 잡아낸다"면서 "위음성인 상황에서 방역 패스로 24시간을 주게 되면 이들이 카페 등 다중시설을 이용하며 바이러스를 퍼트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3일 대전의 한 보건소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를 받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김성태

3일 대전의 한 보건소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를 받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김성태

현재 방역 당국은 "신속항원검사 음성자에 대해서 추가로 검사하지 않기 때문에 위음성 통계를 별도로 산출하지 않는다"며 신속항원검사의 위음성 비율은 확인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신속항원검사에서 음성이 나오더라도 개개인에 조심해 달라고 당부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음성이 나왔다고 다 안심하지 마시고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반드시 준수해 달라"면서 음성이라고 해도 의심이 된다면 재검사받을 것을 권고했다.

"기저 질환자·임신부·미접종자 등 PCR 검사 대상자 늘려야" 

PCR 검사를 여력이 되는 한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PCR 검사 체계가 버틸 수 있는 한 최대한 PCR검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면서 PCR 검사 여력에 따라 고위험군의 범위를 조정해나가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위험군의 범위를 지금보다 넓게 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김우주 교수는 "방역 당국이 중증 환자·사망자 줄이는 것을 목표로 방역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면 그 목적에 맞게 적어도 기저 질환자, 임신부, 백신 미접종자 등은 PCR 검사를 받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역 당국은 하루 85만 건의 PCR 검사를 할 수 있다고 했는데, 2월 1~2일 하루 평균 46만건의 PCR 검사가 이뤄졌다. 설 연휴 이전인 지난달 28일 PCR검사 건수는 72만건이었다. 김 교수는 "모든 검사를 PCR로 하자는 것이 아니다"면서 "5~10명 묶어서 검사하는 풀링 검사 기법을 활용하는 만큼 가능할 때까지는 PCR검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