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케이블방송 업계 용어 ‘종편·NO·PP’는 한국에만 있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767호 27면

콩글리시 인문학 

종편(綜編)이 개국 10주년을 맞았다. JTBC, 채널A, TV조선, MBN을 일컫는 종편이란 종합편성채널(general programming channel)의 약어로서 모든 장르의 프로를 종합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는 의미다.

케이블방송은 초기에는 장르별 허가를 했지만 지금은 일정 요건만 갖추면 누구나 프로그램공급자(program provider, PP)가 될 수 있다.  홈쇼핑과 보도 채널, 종편은 허가제를 채택하고 있다. 종편이란 용어는 우리만 쓰고 있다.

케이블방송의 도입은 1989년 방송위원회가 방송제도연구위원회를 설치하면서 본격화했다. 제5분과위원회는 케이블 위성방송, HDTV 등을 다루었는데 뉴미디어의 조속한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새로운 조어를 선보였다. 곧 NO, PP, SO가 그것이다.

초기 케이블방송은 크게 세 가지 사업자로 나뉜다. NO(network operator)는 망사업자를 가리키고 PP(program provider)는 프로그램공급자를, SO(system operator)는 지역방송국운영자를 지칭하는 말이다. SO는 전문용어지만 NO와 PP는 우리가 만든 조어다. 초창기 큰 자본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송선을 한국통신과 한국전력이 깔도록 하면서 NO란 용어를 작명했다. 콩글리시인 PP는 영어로 network이다. CNN은 cable news network다.

1990년 공보처는 종합유선방송추진위원회를 설치했다. 케이블방송과 동의어인 ‘종합유선방송’은 기존의 중계유선과 구별하기 위해 만든 한국식 용어다. 위원회는 한국통신에 케이블시범방송국을 설치했다. 시범(demonstration)은 기술적 실험(experiment)과 달리 편성 및 운영상의 전범을 찾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성공적인 시범방송의 결과로 케이블방송 시대가 활짝 열리게 됐다.

광고시장의 제약과 공중파 방송의 반대로 2010년까지 종편은 단 한 채널도 허가받지 못했다. 관련 법도 신문과 방송의 겸영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었다. 이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이명박정부 시절 여야 합의로 국회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가 설치됐다. 이 위원회 보고서의 핵심은 종편 도입, 인터넷 실명제, 신문과 방송의 겸영 허가 등이다.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방송영상산업의 진흥이 필요했다. 매너리즘에 빠진 공중파에 자극을 주고 경쟁을 통해서 창의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었다. 종이신문의 새로운 활로를 위해 종편의 진출을 허용해야 한다는 게 골자였다. 종편 4개는 이렇게 탄생했다.

종편의 성장에는 제도적 이점이 컸다. 독점적인 허가, 의무 전송, 앞 채널 배치 등이 그것이다. 언젠가 종편도 시장진입이 자유롭게 될 수 있다. 건강 프로의 과잉 편성, 매명(買名)에 나선 단골 패널, 값싼 뽕짝프로의 범람 등 새로운 10년을 위해 개선해야 할 과제도 많다. 지난 30년 동안 제5분과위원장, 법제도소위원장, 시범방송 운영위원장 그리고 미디어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아서 케이블도입의 정책에 기여해 온 필자는 JTBC 등 종편의 눈부신 성장에 감회가 새롭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