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목욕탕 요금자율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대중목욕탕 요금이 빠르면 8월부터 자율화된다.
정부는 최근의 물가상승으로 85년말 이후 동결된 현재의 요금으로는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다 자율요금을 받고있는 호텔 사우나 시설과 비교해 대중사우나 등 기존의 대중목욕탕시설이 뒤떨어지지 않아 요금 자율화가 불가피하다는 업자들의 요구를 받아들여올 하반기부터 목욕탕요금자율화를 시행할 방침이다.
그러나 목욕료가 자율화되면 요금이 크게 뛰고 자칫 업자들간의 담합으로 시민들이 피해를 보게돼 현행 공중위생법의 허가제로 돼 있는 목욕탕개설을 시설·규모 등 일정요건을 갖추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신고제 등으로 바꿔 상호경쟁에 따른 요금조정 등 시장경쟁원리에 맡기는 등 최소한 제도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서울시내 대중사우나 등 공중목욕탕은 모두 2천2백여개로 서울시내 일부 목욕업소들이 목욕업중앙회 지부장회의의 목욕료 인상결정에 따라 5일부터 연휴를 틈타 당국에 신고도 없이 목욕료를 30∼55%씩 기습인상, 시민들의 거센 반발 속에 서울시의 원상회복지시로 다시 종전 요금을 받기도 했었다.
서울시내 목욕료는 공중목욕탕의 경우 대인 9백50원, 소인 4백50원씩 받도록 돼있으나 대중사우나는 비누·수건 등을 포함, 지역 등에 따라 1천2백∼1천5백원씩 받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