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 서두르는 「민자내분」/“당위기”3계파 일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YS 당내입지 강화 보장 민정계/박정무 전횡 해결이 숙제 민주계/잘 안되면 노­김 담판할듯
민자당내의 3계파는 김영삼최고위원의 청와대 당직자회의 불참으로 표면화된 당내갈등이 깊어지고 장기화할 경우 당의 운영과 존립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조기수습을 모색하고 있다.
문제를 제기한 민주계는 7일 상도동에서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김최고위원의 청와대회의 불참이 ▲4ㆍ3보선결과에서 나타난 민심이탈현상에 경종을 울리고 ▲노태우대통령과 민자당의 개혁의지후퇴를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명분을 정리하고 노대통령에게 ▲당운영방식의 민주화 ▲정책을 통한 개혁의지 구현 ▲당지도체제 확립등을 강력히 요구키로 했다.
민주계는 이같은 요구내용을 민정계에 전달,절충과정을 통해 당의 이미지를 바꿀 것을 제의했는데 만약 민정계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당내에서의 일전도 불사하되 가급적 조기수습에 협조하기로 했다.
민정계도 7일 오후 S호텔에서 자파의원모임을 갖고 민주계의 당운영 소외에서 비롯된 요구조건을 검토,현실적으로 수용가능한 것은 들어주면서 적절한 공존방식을 만들어가는 다각적인 노력을 하기로 했다.
민정계는 우선 김최고위원의 반발이 당운영에서의 소외에서 비롯됐다고 보고 전당대회에서 대표최고위원자리를 보장해주고 민주계의 당내 지분을 좀더 인정하는 쪽으로 타협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또 개혁의지 실천문제에 있어서는 민주계에 할 말이 없는 것도 아니지만 제반정책결정ㆍ인사배치에 있어 당내 여론수렴과 토론절차상 문제가 있는 것은 고치겠다는 자세다.
이처럼 민정ㆍ민주계가 당내분 조기수습을 위한 막후절충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것은 4월말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분이 국민앞에 표출되어 시간을 끄는 것이 하등 이롭지 못하다는 계산과 아직은 피차 상대방을 완전제압할 수 있는 정치상황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민주계의 요구는 상당히 구체적이고 대통령이 수용하기 어려운 것이 많다. 민주계는 특정인사(박철언정무장관)에 의존하는 측근정치의 구태를 청산할 것을 가장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박장관 혼자만이 대통령의 의사를 꿰뚫고 전권을 위임받아 국정ㆍ인사를 전횡하는 것은 어떤 형식으로든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계는 창당이후 당직인선ㆍ조직책선정ㆍ정책결정에서 보여왔던 박장관의 무소불위의 사례들이 비단 민주계뿐 아니라 민정계ㆍ국민들간에도 상당한 공감대가 있다고 믿고 있다. 이를 방치하다가는 정치적 고사를 면치 못할 것이라는 위기의식까지 민주계내에는 만연되어 있다.
공화계역시 민정ㆍ민주계간의 싸움이 민자당의 앞날에도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자칫 잘못하다가는 공화계의 위상이 묻혀버릴 수도 있다고 판단,수습에 적극 나설 태세다.
공화계는 『좀 마음에 안들어도 참아야 한다』『힘이 있다고 그토록 밀어붙여서는 안된다』고 민정ㆍ민주계의 잘못을 동시에 지적하면서 결국 김종필최고위원이 거중조정에 나서 사태를 수습할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결국 김최고위원의 강력한 문제제기는 지금까지 보여온 민자당의 「민정당화」를 막고 민자당의 체질개선을 요구한 데서 시작된 것으로 일단 조기수습쪽으로 감은 맞추었지만 그렇다고 해결전망을 낙관할 수만은 없다.
이런 점들을 감안할 때 민주계가 요구하는 박철언자숙ㆍ개혁의지 강화문제등은 다소의 곡절을 거쳐 궁극적으로는 노ㆍ김영삼담판을 통해 조정될 성질이며 막후대화는 그런 분위기 조성을 위해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것이 3계파의 일치된 인식이다.<이규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