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독자시조」란 이 일대 혁신을 단행했다. 종래의 독자투고 형식을 지양하고 시조단에서 신인으로 성장 할수 있는 참신하고 패기에 찬 시인을 발굴하는 제도로 바뀌었다. 그 첫작품 심사를 맡으면서 선자로서 어깨가 무겁지 않을수 없었다.
선자 두 사람은 투고된 작품을 일일이 읽으면서 이러한 제도의 혁신에 걸맞는 작품을 가려내기가 참으로 어려웠다. 그것은 투고작품 모두가 어떤 틀에 너무 얽매여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 가운데서도 김삼환씨의 『상여 가는 길』을 장원으로 뽑은 것은 함께 투고된 그의 몇 작품이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 였다.
이에 비해 차상을 한 박영석씨의 『종달새』는 동시조풍의 가벼운 터치이면서도 종장의 청각적 이미지가 선명한 메시지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작품도 습작기의 신인으로서 너무 가녀린 선을 가졌다는 결점을 커버하기에는 아직 미숙했다.·
이런 얘기는 차하에 오른 김기배씨의 『내림굿』에도 함께 적용된다. 무당의 굿 장면을 작품화하려면 보다 끈끈하고 토속적 내지는 육감적인 장면 묘사가 곁들여 졌어야 마땅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이라면 단수보다는 연작 또는 사설이 더 적절했을 것이란 생각을 했다. 이밖에 입선한 신동익씨의『추곡 수매장에서』는 상을 다듬는 노력이 더 필요했고, 이범옥씨의 『봉평고을』,이영순씨의 『무상 (무상)함』, 우아지씨의 『동백꽃』에는 시조가 그저 평범한 심정의 토로가 아니란 점을 일단은 지적해 두고 싶다.
마지막으로 이인순씨의『배면의 거울』은 거친듯한 언어구사에도 불구하고 신인다운 맛은 있었으나 한편의 작품을 완성하는데는 아직 미숙한 점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지적해 두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투고자들에게 평시조의 단수에만 너무 집착하지 말고 연작 사설시조 등을 과감하게 시작하라고 권하고 싶다.

<심사위원=윤금초·박시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