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취업자 65만명 늘었는데, 3040에선 11만명 줄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지난달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65만 명 늘었다. 두 달 연속 일자리가 증가했고, 월간 기준 상승 폭은 6년 8개월 만에 최대다. 정부는 ‘고용 회복’을 말하기 시작했다. 과연 그럴까.

4월 상승폭 80개월 만에 최대 #고령층이 47만명으로 70% 넘어 #공공일자리 비해 제조업 찔끔 #본격 고용회복으로 보긴 힘들어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21만4000명이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65만2000명 증가했다. 2014년 8월(67만 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일자리 증가세는 지난 3월(31만4000명) 이후 2개월째 이어졌다. 실업률(4%)은 같은 기간 0.2%포인트 떨어졌고, 고용룔(66.2%)은 1.1포인트 올라갔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국내 생산·소비 확대, 수출 호조 등 경기 회복과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유지, 또 지난해 4월 고용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비교 대상 수치가 지나치게 낮거나 높아 나타나는 통계 착시) 등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통계 발표 직후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 겸 경제부총리는 페이스북에 “수출·내수 회복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고용 회복 흐름도 더 뚜렷해지는 모습”이라며 “전체 취업자 개선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적었다.

코로나 이전 비교 노인고용만 늘어.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코로나 이전 비교 노인고용만 늘어.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하지만 속사정을 뜯어보면 섣불리 고용 회복을 단언하기 어렵다. 일단 기저효과가 컸다. 4월 취업자 수가 65만 명 넘게 늘어나긴 했지만 비교 대상이 된 지난해 4월 감소 폭이 47만6000명에 달했다. 정부가 예산을 들여 만든 공공 일자리도 큰 몫을 했다. 산업별로 나눠보면 재정 일자리 비중이 큰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22만4000명)가 가장 많이 증가했다. 반면에 전 산업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16.1%) 제조업 일자리는 전년 동월 대비 9000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4월 4만4000개 제조업 일자리가 사라졌는데, 그 충격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제조업 다음으로 고용 비중이 큰(12.3%) 도·소매업 일자리는 같은 기간 18만2000개 줄었다.

취업자증가폭.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취업자증가폭.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연령·직업별로 보면 온도 차는 더 확연히 드러난다. 지난달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1년 전과 비교해 46만9000명 급증했다. 지난달 전체 취업자 증가분 3분의 2가량을 고령층이 담당했다는 의미다. 반면에 30대(-9만8000명), 40대(-1만2000명)는 일자리가 줄었다. 직업별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47만6000명)가 가장 많이 늘었다. 다시 말해 나랏돈으로 월급을 충당하는 노인 단순 일자리가 지난달 고용 회복을 이끌었고, 정작 경제 허리인 30~40대 취업자는 감소했다. 정부가 자신하는 ‘고용 회복’의 불편한 진실이다.

특히 2년 전인 2019년 4월과 지난달 고용률을 비교하면 60세 이상(41.6→43.3%)만 올랐을 뿐 15~19세(8.1→7.6%), 20대(57.2→56.4%), 30대(75.8→75.1%), 40대(78.2→77.1%), 50대(75.5→75%) 모두 내려갔다. 김경수 성균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고용의 질이 나빠지고 있는 것은 물론 청·장년층 모두 고용이 악화했다는 점에서 아직 갈 길이 멀다”며 “가장 우려되는 점은 과거 국제통화기금(IMF) 세대처럼 아예 고용시장 진입을 못하고 장기 실업 상태에 머무르는 코로나 세대가 나타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세종=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