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공무원본부장 "전체 공무원 재산등록은 범죄자 취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제7차 공정사회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제7차 공정사회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정부와 여당이 공직자 재산등록 범위를 9급 하위직까지로 확대하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산하 공무원본부 김태신 초대 본부장이 "공무원사회를 잠재적인 범죄집단으로 보고 내린 결정"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다음달 1일부터 공식 활동에 들어가는 김 본부장은 30일 충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 또는 공직자의 1% 정도가 범법행위를 하는데, 99%의 공무원을 범죄자로 취급하고 있다"며 "저인망식 그물을 던져 놓고 '너희 한 번 걸려봐라'는 식으로 나오는 건 잘못됐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그는 "16년간 개별 노조로 있다 보니 공직사회가 어떤 얘기를 해도 정치권·중앙정부에서 관심을 두지 않아 한계가 있었다"며 "한국노총 산하에서는 정부 정책이나 잘못된 제도 개선을 위해 논리적·체계적·집단적으로 목소리를 내겠다"고 말했다.

16개 광역자치단체 소속 공무원 3만여 명으로 구성된 전국광역도시공무원노동조합연맹(광역연맹)은 다음 달부터 한국노총 산별 연맹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지난달 대의원(99명) 투표에서 77.78% 찬성으로 한국노총 가입 안건을 가결했다.

이로써 상급 단체도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에서 한국노총으로 바뀌었다. 한국노총 공무원본부는 광역연맹을 시작으로 교사연맹과 통합공무원노조가 추가 가입할 예정이다. 7월에는 소방공무원 등도 합류가 예정돼 있다. 모두 합치면 18만명의 조합원을 가진 전국 최대 규모 공무원 노조가 될 전망이다.

장주영 기자 jang.joo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