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성폐질환

중앙일보

입력

◆ 정의
원인이 되는 폐질환이나 심장질환이 없이 기도폐쇄가 발생하여 기류의 속도가 감소하는 질환군을 말하며 공해, 흡연인구의 증가와 노령인구의 증가 등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 원인
확실한 원인은 알수 없지만 흡연, 도시화와 공해, 호흡기감염증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할것으로 보인다.

◆ 증상
만성적 기침, 호흡기질환의 재발등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며, 15% 정도는 소아기에 천명음을 동반하여 호흡곤란을 경험한 병력을 가지고 있다. 만성기관지염은 기침과 가래가 주증상이며 아침에 심하다 10%정도에서 호흡곤란을 가져온다.폐기종은 운동시 호흡곤란을 느끼게 되어 점차로 일상생활에까지 지장을 초래하게된다. 심한 체중감소가 특징이다.

◆ 진단
방사선검사, 폐기능검사로 진단한다.

◆ 치료
흡연을 중지해야 하며, 감염이 되면 항생제로 악화를 예방한다. 기관지 확장제, 천식에 효과가 있는 부신피질 호르몬제, 가래를 제거해주는 거담제, 심한호흡곤란시에는 산소를 공급할수 잇다.

◆ 예방
폐가 신선한공기로 숨을 쉴수 있도록 환기를 시켜주고 금연하며 호흡기 감염에 걸렸을시 신속한 치료를 하여 악화를 방지한다.

*** 관련 정보 보기

▶ 만성폐쇄성폐질환 - 아스트라제니카제공
▶ COPD환자의 약물요법 - 경희의료원 마취통증의학과 김동수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