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가 결제 방식도 바꿨다…비대면 결제 늘며 신용카드 사용 16년만에 감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셔터스톡

셔터스톡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소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외출이 줄어들고, 실물 카드를 사용하는 대신 온라인 상에서 결제하려는 경향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 영향으로 신용카드 사용 규모는 16년 만에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0년중 국내 지급결제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지급카드(신용·체크카드 등) 일평균 사용 규모는 전년보다 0.6% 늘어난 2조5210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소비 활동이 위축되면서 전년 대비 증가 폭은 2019년(5.8%)보다 크게 낮아졌다.

이 중 신용카드 일평균 사용 규모는 1조9610억원으로 전년보다 0.3% 줄었다. 과거 신용카드 사용 규모가 전년보다 줄어든 것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9.1%)과 카드대란이 발생했던 2003년(-22.2%), 2004년(-26.8%) 총 세 차례에 불과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16년 만에 처음으로 신용카드 사용 규모가 줄어든 것이다.

체크카드의 일평균 사용 규모는 전년보다 1.5% 상승한 5400억원이었다. 증가 폭은 2017년(7.7%), 2018년(5.9%), 2019년(6.2%)보다 크게 낮아졌다. 반면 선불카드의 일평균 사용 규모(170억원)는 정부와 지자체의 긴급재난지원금 등으로 전년보다 590.8%가 늘었다.

지급카드(신용·체크카드) 결제 변화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지급카드(신용·체크카드) 결제 변화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지난해 지급카드의 사용 규모가 1년 전보다 크게 줄어든 시기는 크게 두 차례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지난해 3월(-7.4%)과 4월(-4.4%)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 방침으로 대면 소비가 크게 위축되면서다. 이후 5월(0.9%) 소폭 증가세를 보이다 12월(-5.4%)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다시 사용 규모가 큰 폭으로 줄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PC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대면결제는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일평균 비대면 결제 규모는 8490억원으로, 전년보다 16.9%가 늘었다. 반면 일평균 대면결제 규모는 전년보다 5.6% 줄어든 1조3980억원을 기록했다.

비대면 결제는 코로나19 확산 이전부터 꾸준하게 늘었다. 2019년 1분기 32.2%에서 지난해 4분기 39.6%로 7.4%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대면 결제를 하더라도 실물 카드를 이용하는 대신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삼성페이나 카카오페이 등을 이용해 결제하는 방식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모바일기기를 이용할 때 간편 결제서비스(카드 정보를 모바일에 저장해두고 비밀번호ㆍ지문인식 등 간편인증수단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비중도 증가 추세다. 2019년 1분기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이용 비중은 34.2%를 차지했지만, 지난해 4분기 41.5%까지 확대됐다.

대면·비대면 결제 비중 변화.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대면·비대면 결제 비중 변화.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때 카드사 대신 핀테크 기업의 서비스를 찾는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4분기 핀테크의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한 비중은 61.7%로, 카드사 간편결제서비스 이용률(38.7%)을 크게 앞섰다. 핀테크 지급결제서비스 이용 비중은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9년 1분기(53.4%)부터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신용카드 소비유형을 분석한 결과 전자상거래(24.2%), 자동차(20.6%), 가구·가전(6.3%) 업종의 사용 규모는 커졌지만 이를 제외한 대부분 업종은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여행(-66%)업을 비롯, 교육(-17.1%), 음식점(-14.3%)에서의 사용은 크게 줄었다.

지역별 신용카드 사용 규모는 수도권(5.4%)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전년 대비 크게 감소했다. 수도권은 온라인 쇼핑몰 등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 대부분이 있어 사용 규모가 늘었지만, 나머지 지역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가 줄면서 사용 규모가 감소세를 나타냈다.

윤상언 기자 youn.sang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