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성 김 이어…美국무 동아태 부차관보에 한국계 정박 물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지명자에 대한 상원 투표가 26일(현지시간) 정오에 이뤄진다. 한국 외교부는 블링컨 국무장관 인준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강경화 장관과의 전화통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AFP=연합뉴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지명자에 대한 상원 투표가 26일(현지시간) 정오에 이뤄진다. 한국 외교부는 블링컨 국무장관 인준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강경화 장관과의 전화통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AFP=연합뉴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지명자에 대한 미 상원 인준 투표가 26일(현지시간) 오전 10시에 이뤄진다. 이에 따라 북핵 문제와 한·미 동맹 현안을 다룰 국무부 '한반도 라인' 인선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26일 미 상원서 블링컨 인준 투표 #국무부 '한반도 라인' 윤곽은? #성 김 차관보, 정 박 부차관보 물망

로이터통신은 26일 “미 상원은 정오에 이뤄질 투표에서 압도적 찬성으로 블링컨 지명자를 국무장관으로 확정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일부 공화당 의원들을 포함한 대다수 의원들이 바이든의 새 국가 안보팀이 가능한 빨리 구성되길 바라는 입장”이라고 보도했다. 한국 외교부는 블링컨 지명자의 인준 절차가 마무리되는대로 강경화 장관과의 전화통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성 김 이어 부차관보에 한국계 정 박 물망 

정 박 브루킹스연구소 한국 석좌가 미 국무부 동아태 담당 부차관보 물망에 올랐다. 그는 지난 19일부터 브루킹스연구소 관련 업무를 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정 박 브루킹스연구소 한국 석좌가 미 국무부 동아태 담당 부차관보 물망에 올랐다. 그는 지난 19일부터 브루킹스연구소 관련 업무를 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국무부 차관 인사가 거의 마무리된 가운데 블링컨 지명자가 장관으로 취임하면 주요 보직에 대한 인사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보에 한국계 북한 전문가인 정 박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한국 석좌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박 석좌는 미 중앙정보국(CIA) 북한 정보 분석관 출신으로 바이든 대통령의 인수위원회 정보분과에 참여했다. 북핵 문제에 있어서는 원칙론자로,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문재인 정부가 북한과의 이루지 못할 약속을 위해 국내 민주주의를 훼손시키고 있다”고 비판적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박 석좌는 지난 19일부로 연구소 업무에서 손을 떼면서 워싱턴 정가에선 그가 정부 요직을 맡을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렸다. 대미 소식통은 "박 석좌가 국가정보국(ODNI)이나 국무부의 중요한 자리에서 일하게 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이미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에 내정된 상황이라는 구체적인 이야기까지 나온다"고 귀띔했다.

성 김 인도네시아 주재 미국대사는 현재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대행을 맡고 있다. 그가 '대행'을 데고 정식 차관보가 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중앙포토]

성 김 인도네시아 주재 미국대사는 현재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대행을 맡고 있다. 그가 '대행'을 데고 정식 차관보가 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중앙포토]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성 김 주인도네시아 대사가 대행하고 있다. 이미 수석 부차관보급을 넘어선 김 대사에게 굳이 '대행'이란 꼬리표가 달린 데 대해서는 해석이 분분하다. 아직 블링컨 지명자에 대한 인준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은 것을 고려해 대행으로 임명한 것일 뿐 결국 그대로 차관보에 임명될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가 있는가 하면, 대행만 한 뒤 인도네시아로 돌아가거나 다른 직위를 맡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김 대사는 오바마 행정부에서 주한 대사와 대북정책특별대표를 역임한 북핵 전문가다. 다만 중국 관련 업무를 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이 동아태 차관보를 하기엔 약점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또 김 대사와 박 석좌가 각기 차관보와 부차관보를 맡으면 동아태국 리더십에 한국계 미국인이 두 명이라, 현실화하기는 어려운 그림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대북정책특별대표·북한인권특사 인선은? 

북한 비핵화 협상 및 대북 정책의 실무를 지휘할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의 경우 차관보·부차관보 인사가 모두 마무리된 이후인 오는 4~5월에야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에서 북핵 문제가 최우선 순위는 아닐 것이란 분석도 있다.

로버트 킹 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로버트 킹 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또 다른 북한 관련 주요 직책이자 트럼프 행정부에서 공석이었던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바이든 행정부에서 다시 부활할 것으로 예상된다.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지난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 문제에 더 많은 관심과 우려를 가질 것”이라며 대북인권특사가 적절한 시점에 임명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럴 경우 한국 정부도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아도 대북전단금지법(개정 남북관계발전법) 등으로 인해 북한 인권을 외면한다는 국제적 비판이 거세기 때문이다. 2016년 시행된 북한인권법(제9조 2·3항)은 북한 인권 증진을 위해 외교부에 북한인권대외직명대사를 둘 수 있고, 그 임무·자격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는 2017년 9월 이정훈 북한인권대사의 임기가 다한 뒤로 후임 대사를 임명하지 않고 있다.

정진우·박현주 기자 dino87@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