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바이드노믹스 첫날, 세계 증시 다 올랐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첫날인 20일(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뉴욕증권거래소 딜링룸 스크린에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식 장면이 나오고 있다.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첫날인 20일(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뉴욕증권거래소 딜링룸 스크린에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식 장면이 나오고 있다. [AP=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 선서를 하던 순간, 뉴욕 3대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다우지수(3만1188.38)와 S&P 500(3851.85)), 나스닥(1만3457.25)까지 가장 높은 고지를 밟았다. 백악관 주인의 교체를 반기는 월가의 환영 축포가 울린 셈이다. 마켓워치는 “역대 미국 대통령 취임일 상승률로 따져보면 다우와 S&P500은 1985년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시작일 이후 36년 만에 최고치”라고 보도했다. 나스닥 지수는 대통령 취임일 사상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취임일 뉴욕 3대 증시 다 사상 최고 #상승률도 36년 만에 가장 좋은 기록 #2100조원 경기부양에 세계가 기대 #최악 실업률, 빅테크 독점규제 등 #해결할 숙제도 10가지 첩첩산중

‘바이든 랠리’는 바다 건너 각국 증시에도 훈풍을 불어넣었다. 독일과 영국 등 유럽 증시가 동반 상승했다. 한국 코스피(1.49%)와 일본 닛케이지수(0.72%), 중국 상하이 지수(1.07%)도 모두 올랐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이 미국뿐 아니라 글로벌 전반의 수요를 자극할 수 있다는 기대가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상최고치뉴욕증시.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사상최고치뉴욕증시.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세계 증시가 바이든의 첫 출발을 열렬히 환영하는 데는 당분간 유동성이 마르지 않게 공급될 것이란 기대감이 깔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투자자들은 미국 정부와 민주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피해를 본 기업을 지원하고, 경기 부양을 위해 더 많은 돈을 풀 것에 낙관적 기대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근거 없는 기대가 아니다. 이미 모습을 드러낸 ‘부양책 1탄’은 이런 낙관을 부추기기에 충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전에 ‘미국 구제 계획(American Rescue Plan)’이라 명명한 1조9000억 달러(약 2100조원) 규모의 부양책을 발표했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 지명자도 공격적 재정 지출을 선언했다.

바이든이 경기 둔화와 코로나19라는 ‘쌍둥이 위기’에 직면한 미국 경제를 구해낼 수 있을까. 만만치 않다. 뉴욕타임스(NYT)가 꼽은 ‘바이든호가 직면한 경제 문제’의 면면을 살펴봐도 첩첩산중이다. 경기회복과 빅테크 기업규제, 중국과의 관계 등 10가지에 이른다.

가장 급선무는 코로나19의 상흔을 없애는 것이다. 그 첫 줄에 서 있는 것이 실업 문제다. 지난달 실업률은 6.7%로 코로나19 이전의 배로 치솟았다. 경기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만 그조차 양극화가 심해지는 K자 회복이 될 가능성이 크다. 로이터 통신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위기는 2008년 세계금융위기 때보다 더욱 험난할 것”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바이든 경제팀이) 상상력을 더 발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바이든호경제과제.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바이든호경제과제.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계층을 겨냥한 ‘정밀타격형 부양책’도 한계에 직면할 수 있다. 무한정 돈줄을 풀 수 없기 때문이다. 재정 지출을 늘리기 위해 국채를 발행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금리 상승)한다. 흘러넘치는 유동성에 경기 회복세까지 가세하면 인플레이션 압력도 커질 수밖에 없다. 사실상 제로금리를 유지하는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긴축으로 한 발짝 다가설 수도 있다. 미 CNBC는 “증시를 끌어올린 바이든의 부양책이 금리 상승이란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 회사의 금융화와 빅테크 기업의 독점에도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크다. 소득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이들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수 있어서다. 기업과 고소득자에 대한 증세 역시 언제든 현실화할 가능성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극단을 치달았던 중국과의 관계를 푸는 것도 바이든에게 놓인 숙제다.

미국의 억만장자 투자자 리언 쿠퍼먼은 CNBC에 “바이드노믹스는 기업에 우호적이지 않다”며 “현재의 증시는 행복감에 취해 있지만, 이는 미래의 행복을 빌려온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