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치맛자락에 음식냄새가 희미하게 배어있던 어머니 박완서"

중앙일보

입력

고 박완서 작가의 맏딸인 호원숙 작가. [중앙포토]

고 박완서 작가의 맏딸인 호원숙 작가. [중앙포토]

“남동생은 한참 먹성이 좋을 때이기도 했지만 만두를 특히 좋아했다. 만두를 스물다섯 개 먹었다고 자랑하곤 했으니. 볼이 붉었던 소년, 엄마가 만든 만두라면 얼마든지 더 먹을 수 있다고 했다. 엄마는 그 아들의 등을 자랑스러운 듯 툭 치면서 만두 만드는 노고를 잊는 듯 허리를 펴셨다.”

딸 호원숙 작가, 어머니와 함께한 음식의 기억으로 10주기 기려

박완서(1931~2011)의 딸 호원숙(67) 작가가 음식의 이야기로 어머니의 10주기를 추모한다. 수필집 『정확하고 완전한 사랑의 기억』(세미콜론)을 기일인 22일에 맞춰 내면서다. 책은 주로 어머니와 함께 먹던 소박한 음식에 관한 이야기다. 박완서 작가가 소의 생간을 사다가 얇게 저며 부친 간전, 겨울이 되면 석유 난로 위에 동그란 알루미늄 찬합을 올려 구워주던 카스테라를 통해 호 작가는 어머니를 되살려낸다. 치맛자락에 음식 냄새가 늘 희미하게 배어있고, 『죄와 벌』『전쟁과 평화』곁에 요리책을 나란히 꽂아뒀던 어머니다.

그 중 박 작가가 1988년 세상을 떠난 아들에게 먹이던 만두도 나온다. 호작가의 동생 원태씨는 25세에 사고로 사망했다. 호 작가는 책에서 “만두 박사가 없는데 무슨 재미로 만두를 빚나”하면서도 세밑이 되면 만두를 빚던 어머니를 묘사했다.

20일 본지와 전화통화에서 호 작가는 “어머니와 정말 많은 세월을 같은 집에서 먹고 살았다”며 “음식과 어머니에 대해 써달라는 출판사 부탁을 받고 나서 음식 리스트를 쫙 써내려갔다”고 했다. 그는 책의 서문에 “어머니가 떠오르는 그리운 장면은 거의 다 부엌 언저리에서, 밥상 주변에서 있었던 시간이었다”라고 썼다.

2011년 1월 22일 세상을 떠난 박완서 작가. [중앙포토]

2011년 1월 22일 세상을 떠난 박완서 작가. [중앙포토]

박 작가는 결혼해서 다섯 명의 아이를 낳은 후 마흔에 등단했다. 호 작가는 “일상에서 늘 음식을 차리셔서 가족을 먹이셨던 분”이라고 기억했다. 어머니와 먹던 음식을 마주할 때마다 그는 어머니, 또 어머니의 글이 연이어 떠오른다고 했다. 민어 한 마리를 도마에 올려놓고 칼을 쥔 채 어머니의 소설 『그 남자네 집』(2004) 속 한 구절을 생각하는 식이다. “기싸움이라도 하듯이 민어의 눈과 장사꾼의 눈을 번갈아”본다는 문장을 떠올리며 호 작가는 민어회와 민어 양념구이를 만들었다. 이번 책은 박완서 문학의 산증인인 딸이 머릿속 데이터베이스에서 ‘음식’이라는 키워드로 추려낸 결과다.

호 작가는 “책을 다 쓰고 나서 뒤늦게 발견한, 쓰지 못한 이야기들도 아주 많다”고 말했다. “동치미에 대한 글에서 할머니와 추억만 썼는데, 어머니 단편 ‘대담한 밥상’을 다시 읽다 ‘어머, 여기 있었네’ 했다.” 오래된 동치미의 무를 건져 찬물에 넣고 식초와 파를 넣어 먹는 별미가 그 작품 속에도 들어있었다. 그는 “내가 기억하고 있는 음식을, 어머니는 나보다 더 선명하게 표현하고 있다. 어머니는 지금 존재하지 않으시지만 그렇게 글 속에 계신다”라고 말했다.

박완서 작가의 만두는 데뷔작인 『나목』에도 나온다. "맛난 만두소를 볼록하도록 넣어서 반달 모양으로 아무린 것을 다시 양끝을 뒤로 당겨 맞붙이면 꼭 배불뚝이가 뒷짐 진 형상이 돼요"라며 개성 만두를 유머러스하게 묘사하는 구절이다. 호 작가는 "실제 주인공은 어머니가 겨우 내놓은 시큼한 김칫국에 질려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는 “동생과의 기억도 마음 아프지만, 그 시절에 갖춰서 먹지 못했던 어머니가 떠올라 나는 이 대목이 참 슬펐다”고 했다. 한 시대의 대작가가 딸과 공유했던 음식 이야기는 박 작가가 ‘한국 문학의 모성’이라고 불리는 이유를 설명한다.

호 작가의 책을 비롯해, 10주기를 기리는 도서가 잇따라 나왔다. 에세이 35편을 엮은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문학세계사), 개정판으로 나오는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웅진지식하우스), 중ㆍ단편 10편을 담은 『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위하여』(문학과지성사), 마지막 장편 『그 남자네 집』(현대문학) 개정판 등이다. 호 작가는 “어머니의 글에는 많은 코드가 숨어있다. 아주 단순한 글조차 단순하지 않기 때문에 읽을수록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된다”고 했다.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