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특금법으로 국내 가상자산 시장 큰 변화 있을 것"

Join:D

입력

업데이트

[출처: 디지털데일리]

국내 은행 커스터디 서비스의 범위는 전체 디지털 자산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은 디지털 자산의 일부에 해당한다” 디지털데일리가 주최한 2021년 가상자산 대예측 웨비나에서 노진우 헥슬란트 대표는 이같이 말했다.

# “특금법으로 국내 가상자산 시장 큰 변화 있을 것”

블록체인 개발 솔루션을 제공 업체 헥슬란트의 노진우 대표는 이날 웨비나에서 국내 은행 커스터디 서비스와 특금법과 관련한 견해를 밝혔다. 현재 신한은행·농협은행·주요 가상자산 거래소가 헥슬란트 솔루션을 이용하고 있는 상태다. 또한 업계에서 특금법과 관련한 리서치를 처음으로 발간한 바 있다.

노 대표는 “금융자산을 관리 및 보관해주는 서비스를 커스터디라고 한다”며 “많은 사람들이 은행 커스터디 서비스를 관심있어 하는 이유는 가상자산 제도화의 주요 신호 중 하나로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내에서는 가상자산은 여전히 가치가 없다는 인식이 팽배하다”며 “이러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계기 중 하나가 커스터디 서비스 출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는 이러한 국내 상황으로 인해 가상자산 관련 서비스가 빠르게 나오기는 힘들 것이라는 게 그의 견해다. 또한 “국내 은행 커스터디 서비스의 범위는 전체 디지털 자산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은 디지털 자산의 일부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특금법에 대해서는 “그동안 가상자산 사업자의 범위가 모호했다. 특금법으로 인해 이러한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이외에도 가상자산사업자의 신고 의무화, ISMS 인증, 고객 자산 분리, 실명계좌 발급 등의 항목도 들어가 있어 투자자 보호도 이뤄진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노 대표는 “특금법으로 인해 올해 국내 가상자산 시장이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시간비용 등의 이슈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사업을 축소하거나 종료하는 업체가 나오게 될 전망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불확실성이 제거돼 전체적으로는 긍정적인 시장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데이터로 봤을 때 기관 유입이 이번 상승의 키 포인트”

투자를 위한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방법도 제시됐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크립토퀀트의 주기영 대표는 지난해 하반기 데이터 특이점으로 발생한 변화가 암호화폐 상승을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주 대표는 “지난해 하반기 전까지만 해도 10~20조원 단위로 거래가 일어났는데 작년 9월부터 70조원, 많게는 150조원의 거래가 일어났다”며 “이 거래액의 97%가 장외거래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장내 거래를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기관이 우회적으로 대량 매입을 진행하는 패턴이라고 볼 수 있다. 그는 “크립토퀀트에서는 주요 고래(암호화폐 큰 손)들의 지갑을 추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거래소에 비트코인이 유입되면 매도 신호로 볼 수 있는데, 지난해 하반기에는 거래소 코인 유입량이 늘어나도 기관이 이를 지속적으로 매입하는 흐름이 나타났다”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서는 거래소 코인 유입량 및 채굴자 지표가 증가하자 가격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해 주 대표는 “기관 매입 지표는 코인베이스 OTC(장외거래) 유출량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지표가 지난 12월부터 끊기는 흐름이 나타났다”며 기관이 올해 암호화폐 상승의 키 포인트라는 점을 암시했다.

비트코인 외의 알트코인 가격 흐름에 대한 견해도 밝혔다. 그는 “알트코인의 경우에는 비트코인보다 블록체인 데이터가 유의미한 경우가 많다. 비트코인은 거래소에 보내지더라도 단순 매도 목적 외에도 보관·선물 거래·스테이킹 등으로도 이용될 수 있어 예측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그러나 알트코인의 경우에는 매도 목적이 대부분인 경우가 많다”며 되레 알트코인이 데이터 분석을 하기 좋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웨비나는 박현영 디지털데일리 기자를 좌장으로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노진우 헥슬란트 대표·남두완 메이커다오 한국 대표·박재민 이드콘 2021 준비위원장이 연사로 나섰다.  

박상혁 기자 park.sanghyu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