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방문 이력 의심”…대전서 감염경로 못찾는 확진자 속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대전에서는 최초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가족 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염이 이어지고 있다.

대전 유성구청 간부 공무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지난 10일 방역 관계자가 유성구청 내 사무실을 방역하고 있다. 뉴스1

대전 유성구청 간부 공무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지난 10일 방역 관계자가 유성구청 내 사무실을 방역하고 있다. 뉴스1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30대 여성(대전 607번)이 지난 11일 확진된 데 이어 남편(대전 612번)과 초등생 아들(대전 613번)도 다음날인 지난 12일 양성으로 판명됐다. 아들은 지난 8∼9일 등교했다. 하지만 무증상 상태에서 확진된 점을 고려해 학교 학생 등 전수 검사는 하지 않기로 했다. 방역 당국은 이들이 지난 5∼7일 수도권 방문 이력이 있는 점 등을 근거로 감염 경로와 동선 등을 조사하고 있다.

 직장동료 확진자를 접촉한 50대 여성(대전 610번)과 남편(대전 616번)·부모(대전 617·618번)·남동생(대전 619번)도 양성 판정을 받았다.

 노부부(대전 608·614번)와 딸(대전 615번)도 잇따라 확진됐는데, 방역 당국은 딸이 지난 6일 아프리카 토고에서 입국한 점을 토대로 감염경로를 찾고 있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대전 606번의 직장동료(대전 622번), 대전 597번과 같은 건물에서 근무하는 40대(대전 623번)도 감염됐다.

 지난 10일 확진 판정을 받은 유성구청 간부 공무원(대전 585번)의 감염경로도 아직 파악이 안 된 상태다. 방역 당국은 이 공무원의 부인(대전 587번)이 지난 11월 22일께 대중교통을 이용해 서울과 경기 지역을 방문한 사실을 확인했다. 코로나19 관련 증상도 부인이 먼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뚜렷한 감염경로는 파악하지 못한 상태다. 공무원 부인은 지난 11일 감염 판정을 받았다. 이와 관련 대전시 관계자는 “부인이 먼저 감염된 게 아닌가 보고 정밀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유성구청 직원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위해 줄을 서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유성구청 직원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위해 줄을 서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유성구청 간부 공무원 확진과 관련, 진단검사를 받은 유성구청 직원 872명은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간부 공무원의 밀접 접촉자로 분류된 직원과 유성구 의원 31명은 2주간 자가격리 상태다. 대전시 관계자는 “공직자들이 마스크를 철저히 착용하는 등 방역 수칙을 잘 지킨 점도 있지만, 사람마다 바이러스 전파 강도가 천차만별이어서 유성구청 내에 코로나19가 확산하지 않은 원인을 단정할 수는 없다”고 했다.

 지역내 감염 확산과 관련, 대전시 정해교 보건복지국장은 "감염 경로를 모르는 분을 매개로 집단 감염이 이뤄질 가능성이 커 우려스럽다"며 "수도권 확산세가 꺾여야 하는데 거기서 진정세를 보이지 않으면 대전도 진정될 수 없어 걱정이다"고 말했다. 대전에서는 지난 12일 하루 동안 확진자 16명이 발생했다.

대전=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