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드기지 장비반입 움직임에 다시 충돌 위기감…반대단체 저지 시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2일 오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진밭교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기지 장비 반입을 저지하기 위해 반대 단체 회원과 주민들이 구조물에 몸을 넣은 채 시위하고 있다. 사드철회소성리종합상황실

22일 오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진밭교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기지 장비 반입을 저지하기 위해 반대 단체 회원과 주민들이 구조물에 몸을 넣은 채 시위하고 있다. 사드철회소성리종합상황실

국방부가 22일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기지 공사에 필요한 장비를 반입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지 주변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철제 구조물에 몸 넣고 육로 차단 시위 #경찰, 10개중대 800여명 투입해 대기중 #앞서 5월에도 장비 반입 과정 충돌사태

 사드 기지로 들어가는 입구인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마을회관과 진밭교에는 이날 오전부터 사드 운용에 반대하는 주민과 시민단체 회원들이 모여 장비 반입 저지와 시위를 하고 있다. 이들은 진밭교 위에 철제 사다리 등으로 격자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어 그 사이에 몸을 넣은 채 앉아 있는 상황이다. 사드 기지로 향하는 유일한 육로인 진밭교를 차단하기 위해서다.

 강형욱 소성리종합상황실 대변인은 “현재 공사 계획을 철회시키기 위해 주민들이 구조물에 자신의 몸을 의지했다. 거대한 국가 폭력에 맞서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몸을 던지는 수밖에 없다”며 “부디 문재인 정부는 미국의 요구 앞에 국민을 내던지지 말기 바란다”고 말했다.

 경찰력 10개 중대 800여명이 투입된 가운데 국방부는 이날 중으로 사드 기지에 공사 장비를 반입할 방침이다. 기지 내 장병들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장비와 물자다.

 소성리사드철회 성주주민대책위원회 등 사드 반대 단체와 주민들은 “지난 5월 사드 성능 업그레이드 장비를 배치한 데 이어 이번에는 추가 장비로 기지를 완성하려는 의도”라며 반발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상황에 또 다시 사드 미군 기지 완성을 위해 대규모 경찰 병력을 동원한 작전을 준비하고 있다”며 “매일 같이 브리핑을 통해 코로나19의 위험성을 알리고 국민들의 협조를 요구하면서 정부가 나서서 전국의 경찰들을 소성리 작은 마을에 집결시키는 것이 말이 되느냐. 이래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지난 5월 29일 오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에 경찰병력이 배치된 가운데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를 향해 군 장비를 실은 트럭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지난 5월 29일 오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에 경찰병력이 배치된 가운데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를 향해 군 장비를 실은 트럭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주민 가운데 50여 명이 진밭교 입구 등에 차를 세워 경찰력 진입을 막고 있어 경찰력이 투입되면 충돌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사드 기지 공사와 관련된 장비는 들어가지 않는다고 미리 주민들에게 공지했다. 경계 업무 중인 장병들을 위한 음식을 지급하기 위한 부식 차량과 기지 안에 쌓여있는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차량이 들어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건조된 상태의 음식물은 헬기를 통해 수송하고 있지만 배추 등 부피가 크거나 냉동 상태인 음식은 기지로 반입할 수 없어 육로를 이용하려는 것이다. 일반환경영향평가가 끝나야 기지 공사가 시작된다고 거듭 약속드린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사드 기지 반대 주민들은 “과거에도 부식 차량 안에 기름이나 장비를 넣어 반입하려 한 적이 있다”며 국방부의 해명을 믿지 못하고 있다.

 앞서 5월 29일에도 국방부와 주한미군이 사드 기지에 장비를 반입하는 과정에서 주민과 경찰 간 충돌이 벌어져 주민 5명이 부상을 당했다. 당시 경찰은 장비 수송을 지원하기 위해 47개 중대 3700여명의 인력을 현장에 배치했다.

 국방부와 주한미군은 지난해 8월부터 사드 기지에 있는 장병 숙소 생활환경 개선 공사를 진행 중이다. 군은 그간 주민 등과의 마찰 우려 때문에 공사 장비·자재 등을 헬기로 이송했지만, 일부 장비는 육로 수송이 불가피해 경찰력을 동원한 육로 반입도 병행하고 있다.

성주=김정석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