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해외직접투자도 얼어붙었다…2년래 최대 감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해외직접투자도 얼어붙었다. 올해 2분기 한국에서 해외로 직접투자한 액수가 2년래 가장 많이 줄었다.

18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해외직접투자 동향’ 보고서를 보면 올 4~6월(2분기) 총투자액은 121억4000만 달러(약 14조1000억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7.8% 감소했다. 2018년 1분기(-27.9%) 이후 2년여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해외직접투자도 얼어붙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해외직접투자도 얼어붙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1분기(-4.0%)에 이어 2분기 연속으로 해외직접투자가 쪼그라들었다. 2분기 들어 감소 폭은 더 확대됐다. 총투자액에서 투자 회수액을 뺀 순투자액도 올 2분기 76억1000만 달러로 1년 전과 비교해 46% 감소했다.

여기서 해외직접투자는 한국에 거주하는 개인이나 법인이 ▶해외 기업의 주식에 투자(지분 출자)하거나 ▶해외 기업에 돈을 빌려주거나(상환 기간 1년 이상) ▶해외에서 사업 활동을 하려고 지점ㆍ영업소 등에 투자하는 걸 말한다.

한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꾸준히 증가해왔다. 2015년 303억7000만 달러, 2016년 397조9000만 달러, 2017년 447억2000만 달러, 2018년 511억 달러, 2019년 618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해마다 최고치를 경신하며 4년 만에 배 넘게 늘어날 만큼 증가 속도가 빨랐다. 코로나19 사태가 이런 흐름을 가로막았다.

주요 업종별로는 올 2분기 기준 제조업(전년 대비 -62.7%), 금융ㆍ보험업(-21.3%)에 대한 투자가 특히 많이 줄었다. 해외직접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이들 업종의 투자가 크게 감소하면서 전체 수치를 끌어내렸다.

반면 부동산(7.3%)에 대한 투자는 지난해보다 소폭 증가했다.

기재부는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영향 본격화로 제조업의 감소가 두드러졌다”면서 “다만 부동산업은 저성장ㆍ저금리에 따른 수익 다각화 기조로 인해 투자 증가세가 지속했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유럽(-50.4%), 북미(-33.9%), 아시아(-33.5%)에 대한 투자 감소가 두드러졌다.

세종=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