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리다 탄저병, 테러 가능성 없다"

중앙일보

입력

미국 플로리다주(州) 에서 발생한탄저균 감염은 테러에 의한 것이 아닌 것 같다고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이 9일 밝혔다.

미 보건 전문가들은 지난 5일 숨진 밤 스티븐스(63) 이 사진 편집인으로 일하던,보카 러턴의 슈퍼마켓 타블로이드판 신문 '더 선' 편집실에 대한 검사결과, 고전적인 생물학 테러에 들어맞지 않았다며 연방수사국(FBI) 이 수사를 계속하고 있지만 안전을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세인트루이스대 생물학테러ㆍ전염병연구소의 브루스 클레멘츠 부소장 등 전문가들은 같은 건물에 함께 근무하던 한 남자 환자의 코 분비물에서 박테리아 양성반응이 있었다고 해서 반드시 이 질병에 감염됐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으며 미 국립보건원 연구진들 역시 FBI 수사는 "적절하지만" 탄저균 감염사건이 꼭 테러리스트들의 소행만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플로리다주의 한 보건국 관리는 앞서 탄저균 일부가 사망한 스티븐스의 컴퓨터키보드에서 검출됐다고 밝혔으며 FBI는 사무용 빌딩 전체를 폐쇄하고 정밀조사를 진행중이다.

클레멘츠 교수는 또 "많은 탄저균이 살포됐다면 단 한 건의 감염사고에 그치지않고 상당히 많은 사례를 보게 될 것"이며 테러 가능성을 부인했다.

이밖에 프린스 윌리엄 병원의 한 의사도 CNN방송과 인터뷰에서 플로리다에서 거주했는지 여부가 분명치않은 한 40세 남자도 탄저균 박테리아 감염을 우려해 검사에 착수했으나 탄저병은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탄저균은 극소량으로도 생물학 무기로 전환돼 수많은 인구를 감염, 사망에 이를수 있기 때문에 전 세계 143개국이 서명한 협약에 따라 사용이 금지돼 있지만 미 정부 관리들은 '9.11 테러참사'이후 테러리스트들이 무차별한 생화학 테러를 감행할 경우 무고한 시민들의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우려해왔다.

한편 지난 6일 탄저균 감염으로 사망한 스티븐스는 1979년이후 이 질병으로 희생된 미국내 첫 환자로 기록됐다.

탄저병 감염사실이 확인된 스티븐스와 같은 빌딩에서 근무했던 남자동료 1명은 마이애미 모처에 있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웨스트 팜 비치 미 플로리다주> AP=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