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동시에 '한미 동맹' 강조한 외교차관·주미대사…상시 협의체 '동맹대화' 신설

중앙일보

입력

10일(현지시간) 최종건 외교부 제1차관이 미국 워싱턴에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과 한미 외교 차관 회담을 했다. 청와대 평화기획비서관에서 지난달 외교부로 자리를 옮긴 최 차관은 취임 후 첫 출장지로 미국을 찾았다. [외교부]

10일(현지시간) 최종건 외교부 제1차관이 미국 워싱턴에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과 한미 외교 차관 회담을 했다. 청와대 평화기획비서관에서 지난달 외교부로 자리를 옮긴 최 차관은 취임 후 첫 출장지로 미국을 찾았다. [외교부]

미국 워싱턴에서 한국의 고위 외교 당국자들이 동시에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미·중 간의 갈등이 갈수록 심해지는 가운데 나온 목소리다.

최종건 차관 "한미동맹은 평화 핵심축" #"한미 외교 실무자급 '동맹대화' 신설" #이수혁 대사 "한국, 미국의 견고한 파트너" #"미국, G7에 한국 초청 의사 여전히 유효"

10일(현지시간) 한·미 외교차관 회담을 마친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특파원 간담회에서 처음부터 강조한 키워드는 '동맹'이었다. 최 차관은 먼저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과 "지난 70년간 한·미 동맹이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 안정에 핵심축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했다"고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한·미 정상 간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협력과 소통을 이어가자는 데 공감했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양국 외교당국 간 국장급 실무협의체를 만들기로 했는데, 그 이름도 일단 '동맹 대화'로 정했다고 했다. 동맹 대화는 남북문제를 다루기 위해 2년 전 만들었던 한미워킹그룹과는 별개의 협의체다. 다루게 될 주제도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최 차관은 전날 덜레스 국제공항으로 입국하며 특파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역시 '동맹'을 강조했다. 한국의 입장이 "미·중간의 등거리 외교냐"는 질문에 "등거리는 아니다. 왜냐하면 동맹은 기본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10일(현지시간) 이수혁 주미대사는 조지워싱턴대에서 마련한 한국전쟁 70주년 콘퍼런스에서 한미 동맹을 강조하는 축사를 했다. 사진은 지난 6월 이 대사가 6·25 전쟁 70주년을 맞아 워싱턴의 한국전쟁참전기념공원을 찾았을 때의 모습. [연합뉴스]

10일(현지시간) 이수혁 주미대사는 조지워싱턴대에서 마련한 한국전쟁 70주년 콘퍼런스에서 한미 동맹을 강조하는 축사를 했다. 사진은 지난 6월 이 대사가 6·25 전쟁 70주년을 맞아 워싱턴의 한국전쟁참전기념공원을 찾았을 때의 모습. [연합뉴스]

같은 날 조지워싱턴대가 주최한 한국전쟁 70주년 콘퍼런스의 축사를 한 이수혁 주미대사도 "한국은 모든 면에서 미국의 견고한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과거 한·미 동맹이 주로 안보협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지만, 이제는 안보를 넘어 경제·문화 협력 등 모든 분야로 이어졌다고 했다. "70년 전에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해 미국 참전용사들이 보여준 헌신 덕분에 궁극적인 진전이 이뤄졌다"고도 했다.

이날 한·미 당국 간에는 동맹을 재활성화(Rejuvenation) 하자는 논의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의 동북아 정세로 볼 때 한국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는 점을 미국 측에 전달했다는 것이다.

두 사람의 발언은 중국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미국이 한국의 역할을 직간접적으로 요구하는 상황에서 나왔다. 최근 미국은 반(反)중 경제 협력체에 대한 구상을 내놓는 한편, 미국·일본·호주·인도로 구성된 4각 협력체제 '쿼드(Quad)'에 한국의 참여를 제시하기도 했다.

"미국, G7 정상회의에 한국 초청하겠다는 의사 여전히 유효"

한편 한·미 외교차관 회담에선 방위비 분담금 협상 문제도 테이블에 올랐다. 최 차관은 "기존 한·미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의 틀 내에서 한·미가 공평한 분담을 해야 한다는 정부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고 밝혔다.

전날 최 차관은 백악관을 방문해 매슈 포틴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과도 만나 한미관계와 한반도 문제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때문에 미뤄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관련해, 미국 측이 여전히 한국을 초청하겠다는 의사가 있음을 재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G7 회원국을 확대하는 문제에 대해선 앞으로 계속 협의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김필규 특파원 phil9@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