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만난 전공의들 "코로나 진료 참여, 파업 철회는 아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세균 국무총리가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박지현 전공의협의회 회장(오른쪽 두번째) 등 대표들과 면담에 앞서 주먹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날 모든 연차의 전공의들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에 반대하며 업무에서 손을 뗐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박지현 전공의협의회 회장(오른쪽 두번째) 등 대표들과 면담에 앞서 주먹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날 모든 연차의 전공의들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에 반대하며 업무에서 손을 뗐다. 연합뉴스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방침 등에 반발해 지난 21일부터 순차적인 집단 휴진에 돌입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와 정세균 국무총리가 일부 합의점을 찾았다. 우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대응을 위한 진료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키로 한 것이다.

대전협과 정 총리는 23일 오후 8시30분부터 2시간 넘도록 정부 서울청사 접견실에서 긴급 간담회를 갖고 합의문을 도출했다. 합의문은 두 가지다. ‘첫째 정부는 대한전공의협의회를 포함한 의료계와 진정성 있는 논의를 시작했다’와 ‘둘째 이를 계기로 엄중한 코로나19 시국을 고려해 전공의들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진료에 적극 참여한다’는 내용이다.

방역당국이 코로나19 검체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뉴스1

방역당국이 코로나19 검체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뉴스1

대전협 소속 전공의는 코로나19 대응에 필요한 선별진료소나 코로나19 환자 치료 등 업무에 복귀할 전망이다. 다만 이번 결정은 전공의들의 파업 철회는 아니다. 하지만 24일 열릴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정 총리와의 만남에도 파란불이 들어왔다. 또 코로나19 폭증 상황에서 의료공백에 대한 우려가 한풀 꺾였다.

앞서 대전협은 의대정원 확대 등 4대 정책에 대한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며 21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다. 의협은 26일부터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였다. 그러나 코로나19 상황이 위급해지면서 의료계에서 먼저 대화를 요청했다. 의협은 보건복지부와 지난 19일 간담회를 열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김민욱 기자 kim.min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