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도 코로나19 방역 강화...한·미 연합훈련 일정도 미뤄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용산 주한미군기지 출입구역에 배치된 직원이 출입자 체온 측정 등 방역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 [뉴스1]

서울 용산 주한미군기지 출입구역에 배치된 직원이 출입자 체온 측정 등 방역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 [뉴스1]

주한미군이 한국 전역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조치를 한 단계 올렸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 수가 크게 늘면서 전국 확산 우려도 나오고 있는 데 따른 조치다.

주한미군사령부는 "17일 오전 5시부터 한국 내 모든 미군기지에 대한 공중 보건방호태세(HPCON) 단계를 ‘브라보’에서 ‘찰리’로 격상했다”고 밝혔다. HPCON은 ‘알파’(A) ‘브라보’(B), ‘찰리’(C), ‘델타’(D)등 4단계로 구분하며 위험도에 따라 상향 조정된다. 브라보 단계는 ‘사회적 거리두기’ 수준으로 불필요한 이동이나 접촉을 금지한다. 이보다 높은 찰리 단계에서는 모임이나 이동이 철저히 통제된다. 강화된 조치는 미군과 미군 가족은 물론 부대를 출입하는 한국인 직원에도 적용된다.

지하 벙커에서 한ㆍ미 군 장병이 연합훈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 미 공군]

지하 벙커에서 한ㆍ미 군 장병이 연합훈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 미 공군]

앞서 주한미군은 지난 10일 수도권 코로나19 확진자 감소 추세를 반영해 HPCON을 찰리에서 브라보로 완화했다. 하지만 수도권에서 환자가 다시 늘자 지난 15일 서울과 그 주변 9개 지역에 보건 조치를 찰리로 다시 격상했다. 이어 전국을 대상으로 단계를 올린 것이다.

이번 조치에 한ㆍ미 연합훈련에도 차질이 생겼다. 당초 16일부터 연합훈련을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이틀 미뤄졌다. 합동참모본부는 16일 “한미동맹은 코로나19 상황 등 제반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연합 지휘소 훈련(CCPT)을 이달 18일부터 28일까지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보수단체 회원들이 15일 서울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 집회를 하고 있다. [뉴스1]

보수단체 회원들이 15일 서울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 집회를 하고 있다. [뉴스1]

이처럼 훈련을 앞두고 급작스레 일정을 변경하는 비상조치를 내린 건 지난 14일 대전 자운대에 파견돼 훈련을 준비하던 군 간부 중 확진자가 나오면서다.

최근 한국에 들어온 미군 중 코로나19 확진자도 꾸준히 늘고 있다. 17일 주한미군은 “지난 1일부터 15일 사이에 한국에 들어온 주한미군 중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보인 미군은 5명”이라면서 “3명은 오산 미군기지, 2명은 인천공항을 통해 한국에 들어왔다”고 밝혔다. 이어 “이중 3명은 입국할 때 실시한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타났고, 2명은 두 번째 검사에서 반응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확진자들은 모두 캠프 험프리스(평택 미군기지) 및 오산 공군기지 내 격리 시설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이날 기준 주한미군 관련 누적 확진자는 157명이다.

주한미군은 기지를 출입할 경우 예외 없이 발열 검사를 시행하도록 지침을 강화했다. 또 부대 내에는 필수 인원만 출입하도록 했고 재택근무도 시행할 방침이다.

박용한 기자, park.yongh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