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분짜리 뉴스도 1·2부 쪼개나…"지상파 유사 중간광고 난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SBS 메인뉴스인 8뉴스. 50분짜리 뉴스를 1,2부로 쪼개 유사 중간광고를 집어넣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방송캡처]

SBS 메인뉴스인 8뉴스. 50분짜리 뉴스를 1,2부로 쪼개 유사 중간광고를 집어넣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방송캡처]

50분짜리 뉴스 프로그램까지 1, 2부로 쪼개 유사 중간광고(PCM)를 집어넣으려는 지상파 방송의 행태에 대해 28일 한국신문협회가 “편법 행위”라며 “방송통신위원회는 강력히 규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문협회, 방통위에 "강력 규제" 촉구

신문협회는 이날 방통위에 전달한 의견서를 통해 “갈수록 프로그램 쪼개기 횟수와 장르의 제한이 무너져 PCM이 무분별하게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장르도 예능ㆍ드라마를 벗어나 최근에는 뉴스보도 프로그램으로 확대되면서 공공의 재산인 전파를 이용하고 있는 지상파 방송의 공공성ㆍ공익성 훼손 우려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MBC가 지난달 말 지상파 방송 최초로 90분 짜리 ‘뉴스데스크’를 1,2부로 나누고 PCM을 삽입한 데 이어, SBS는 8월부터 50분짜리 ‘8 뉴스’를 쪼개 PCM을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며 “광고를 끼워 넣기 위해 한 시간도 되지 않는 뉴스 프로그램을 쪼개 그 중간에 광고를 편성하려는 시도는 공익ㆍ공공성을 생명으로 하는 지상파가 취할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신문협회는 “현행법령이 지상파 방송의 중간광고를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간광고와 다름없는 편법 중간광고를 ‘PCM’으로 명칭만 바꿔 버젓이 시행하는 것은 ‘눈 가리고 아웅’하는 짓”이라고 밝힌 뒤 “(PCM이 확산될 경우) 지상파 방송에 대한 광고 쏠림 현상이 가속화돼 매체 간 불균형이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지상파방송의 편법 중간광고가 도를 넘고 있음에도 이를 규제해야 할 방통위는 제재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수수방관하며 사실상 묵인하고 있다. 방통위는 편법 행위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강력히 규제하는 한편, 현행 방송법령의 미비점을 개정ㆍ보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지영 기자 jy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