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테슬라 주가 급등은 바이든 덕?…美 대선 증시 영향은

중앙일보

입력

미국의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청정 에너지를 위해 4년 동안 2조 달러(우리 돈 약 2402조원)를 쓰겠다고 밝혔다. 14일(현지시간) 델라웨어 주 선거운동 연설 때 한 말이다. 지난해 발표한 계획(10년 동안 1조7000억 달러)보다 기간은 짧아지고 금액은 많아졌다. 포브스지는 이 공약을 ‘적극적인(aggressive)’ 계획이라 표현했다.

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는 14일 연설에서 일자리와 관련해 친환경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은 이를 보도한 뉴욕타임즈 화면 캡쳐.

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는 14일 연설에서 일자리와 관련해 친환경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은 이를 보도한 뉴욕타임즈 화면 캡쳐.

바이든 후보가 미국 대선에서 승리한다면 주식시장엔 어떤 영향을 미칠까. 바이든 당선은 미국 주식시장 전반에 ‘호재’라 보긴 어렵다. 친환경 목표를 위해 필요한 막대한 돈은 경기부양책과 법인세율 상승으로 마련하겠다는 게 그의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낮춰놨는데, 바이든은 이를 28%로 높이겠다고 했다. 하인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15일 보고서를 통해 “일각에선 과연 세금을 올릴 수 있을까 의문을 품지만 경기가 회복하면 언제든 법인세 인상 이슈가 부각될 수 있다”면서 “특히 바이든은 최근 주주자본주의 시대를 끝내겠다고 말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주주자본주의 종말’ 바이든…“테슬라만 수혜” 

바이든은 양극화 국면을 해소하려 하지만, 이는 어찌 보면 자본가들이 수혜를 볼 수 있었던 토양이기도 하다. 하 연구원은 지금을 ‘양극화 시대’로 정의하면서 그 근거로 ▷노동의 가치는 떨어지고 기술을 주도하는 자본의 가치는 올라감 ▷금리가 낮아져 레버리지를 일으키기 쉬움 ▷상장기업들의 이익증가속도가 비상장기업의 이익증가속도보다 빨라짐을 들었다. 자본가들에겐 ‘호시절’이라 할 만한 ‘양극화 시대’는 ‘대통령 바이든’이 원하는 그림은 아니다. ‘FAANG(페이스북·아마존·애플·넷플릭스·구글)’같은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는 환경도 더는 허락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하 연구원은 “바이든이 당선될 경우 안 좋은 것만 보이는 상황에서 좋은 것이 딱 한가지 있다면” 그건 테슬라 같은 친환경 정책의 수혜주일 거라고 본다. 그는 “FAANG 대비 테슬라의 시가총액 비중은 이전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바이든의 당선 가능성이 트럼프 대통령을 앞지른 시점(5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했다”며 “테슬라의 최근 상승에는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바이든 시대에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수혜주라고 본다면 최근의 가파른 상승이 납득된다”고 설명했다.

최근 테슬라 주식 가격은 요동치고 있지만 여전히 전년대비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14일 테슬라 주가는 전일보다 1.32%올라 1516.80달러(약 182만원)를 기록했다. 인베스팅닷컴 캡쳐

최근 테슬라 주식 가격은 요동치고 있지만 여전히 전년대비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14일 테슬라 주가는 전일보다 1.32%올라 1516.80달러(약 182만원)를 기록했다. 인베스팅닷컴 캡쳐

김성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바이든의 친노동적 경제 정책은 부정적이지만 친환경 분야는 강력한 정책 모멘텀을 기대해 볼 수 있을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바이든은 친환경 정책을 통해 수백만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을 거라 주장했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전통적인 일자리가 급감했고 대형 기술기업으로 인해 없어지는 일자리가 생기는 일자리보다 많아지면서 고용창출을 위해 새로운 산업을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면서 “미국이 자사주 매입과 경쟁기업 인수 제한 등의 조치를 통해 IT에서 기후변화 대응으로 성장 동력을 확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국내 친환경 기업, 미국발 수혜 없어도

바이든 당선되면 국내 친환경 기업들도 수혜를 입게 될까. 국내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게 김성근 연구원의 생각이다. 김 연구원은 “바이든은 ‘메이드 인 아메리카’를 강조하고 있어 친환경 인프라 역시 최대한 미국산을 사용해 집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14일 우리 정부도 73조원 규모의 ‘그린 뉴딜’ 계획을 발표하는 등 환경부문에 대한 조명은 국경을 불문한 것이 되고 있다. 조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친환경 테마의 일부 관련주는 가격이 부담되는 것이 사실이나, 국내를 비롯해 글로벌 주요국 정부의 정책 지향점이 일치한다는 점에서 중장기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문현경 기자 moon.h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