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탈 일본 기술독립 선언 1년…경기도의 ‘소·부·장’ 생태계 조성 비결은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7월 12일 이재명 경기지사(왼쪽 두번째)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와 경기도내 반도체 산업현장을 시찰했다. [경기도]

지난해 7월 12일 이재명 경기지사(왼쪽 두번째)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와 경기도내 반도체 산업현장을 시찰했다. [경기도]

경기도 화성시 소재 중소기업 ㈜써브는 최근 경기도의 지원으로 ‘항공기용 화물 팔레트’ 개발에 성공, 국내 최초로 미국연방항공청(FAA)의 인증을 받았다. 이 회사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던 항공기용 부품을 국산화해 국내로 공급하고 해외시장 진출의 발판도 마련하게 됐다. 기술독립을 이뤄낸 것이다.

이는 지난해 7월 일본이 대 한국 수출규제 조치 시행에 나서자 경기도가 즉각 ‘탈 일본 기술독립’을 선언하고 경기도형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선 결과다. 도는 기술개발 예산을 대폭 늘려 연간 총 300억원 이상을 도내 기업에 지원하고 있다. 경기도는 또 지난 1년간 ‘기술닥터’와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을 통해 1148건의 기술 애로를 해결하고 2979편의 기술개발 논문 발표 및 1020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탈 일본 기술독립 선언 1년  

경기도가 일본 수출규제 대응 ‘경제·기술 독립’을 선언한 지 1년을 맞아 새로운 ‘소·부·장’ 산업 생태계가 성공적으로 조성돼 가고 있다. 지난 7월 이재명 경기지사는 “일본 중심의 독과점 상황을 바로잡고 경제독립의 기회를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12월 20일 소재ㆍ부품ㆍ장비 자립화 연구개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경기도]

경기도는 지난해 12월 20일 소재ㆍ부품ㆍ장비 자립화 연구개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경기도]

경기도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발표 당시 반도체 산업이 집중돼 있고, 소부장 관련 기업들이 몰려있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됐다. 도는 이에 신속한 대응 체계를 구축해 TF 구성, 긴급 추경예산 투입 등 발 빠른 대응에 나섰다. 그 결과 소·부·장 국산화 관련 인프라 조성, 투자유치 다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소·부·장 산업 육성  

도는 기술독립으로 가는 지름길을 찾기 위해 지난 5월 ‘경기도형 소·부·장 산업 육성 기본계획’ 연구용역을 통해 ‘소·부·장 산업 육성 마스터 플랜’을 수립했다. 지역 특성에 맞는 소·부·장 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체계적인 국산화를 도모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한 것이다. 도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이달 중 기본계획 수립을 마치고 향후 5년간 연구개발(R&D), 판로지원, 인프라 구축 등에 2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도내 소·부·장 산업 분야 기업들의 원활한 경영 활동을 위해 자금·인력 분야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소·부·장 시설투자와 운전자금에 대해 1500억원 규모의 특례 보증을 지원, 200여 개 기업의 자금 융통을 도왔다.

투자유치와 수입선 다변화 앞장  

최근에는 외국기업에 대한 투자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국내 기업의 기술력만으로는 단기간 내 빠른 공급 안정화 달성이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9월 세계 1위 반도체 장비회사 미국의 램리서치와 R&D 센터 설립을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용인 지곡산단에 들어설 이 센터의 구축으로 소·부·장 전문인력의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이어 10월에는 러시아와의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경기-러시아 기술협력센터’를 개소, 러시아의 첨단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도내 기업의 혁신기술 상용화와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류광열 경기도 경제실장은 “이제는 단기적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진정한 기술독립, 나아가 기술 선도 강국으로 성장하는 토대를 다져야 할 때”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개발은 물론, 산학연 간 연계 협력, 과감한 제도개선, 적극적 투자 유치 등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익진 기자 ijj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