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포 폭파' 발언 논란에 "불행 중 다행이란 뜻" 해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송영길 외교통일위원장이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1

송영길 외교통일위원장이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1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포(砲)로 폭파하지 않은 게 어디냐”고 말해 논란이 일자 “사고가 잘 났다는 뜻이 결코 아니라”고 재차 해명했다. 그러면서 “공식 언론기자회견이 아닌데 이런 내용을 쓰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했다.

송 의원은 16일 국회 외교통일위 전체 회의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예고한 대로 했다”며 “빈말이 아니라는 걸 보여주려고 그런 것 같다”고 했다. 그는 “(대)포로 폭발을 하지 않은 게 어디냐”고 말했다.

발언은 야당의 거센 질타를 받았다. 황규한 미래통합당 부대변인은 서면 논평을 통해 “국민의 불안감과 국가 안위는 생각지 않은 귀를 의심케 하는 발언일뿐더러, 외통위원장으로서는 더더욱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송 의원은 17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최악의 상황을 막아야 한다는 측면이 강했다”며 “예를 들어 교통사고가 났을 때 우리가 (그래도 사람이 안 다쳐) 불행 중 다행이다(고 말하는 것처럼) 사고가 잘 났다는 뜻이 결코 아니라 더 심한 군사적 긴장 강화에 대한 우려가 큰 것이고, 그것을 막겠다는 의지가 큰 것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고 양해를 구했다.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우리 측 특사 제의를 단호히 거부했다는 북측 발표에 대해 송 의원은 “우리 정부가 북측에 ‘서훈 국정원장· 정의용 안보실장’특사 카드를 내민 것은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이어 “비공개적으로 이런 제안이 된 것 같은데 (북측이) 그것을 공개하고 거절 의사표시를 한 걸 보면 상당히 불신이 큰 것 같다”고 말했다.

진행자가 “특사로 풀어보자, 남북정상회담을 다시 열어 풀어보자는 해법이 과연 가능한지”를 묻자 송 의원은 “시간이 좀 필요하다고 본다”며 “이런 구조에서 실제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과 또 여러 가지로 그쪽을 진정시키는 그런 작업이 같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추가적인 도발은 절대 안 된다는 것을 강력히 할 필요가 있고 동시에 4·27 합의정신으로 다시 돌아가기 위한 상호 간의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