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586'이 58%…특정 세대가 이렇게 국회 점령한적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1대 국회의원 58%가 1960년대생, 이른바 ‘586세대’인 것으로 확인됐다. 직접선거로 뽑은 국회에서 특정 세대가 의석의 3분의 2가량을 차지한 건 처음이다. 중앙일보가 지난 40년 치 국회 구성을 분석한 결과다.

[21대 국회 데이터 해부]① 팩플데이터

80년대 이후 특정 세대 국회 점유율 최고

16대·19대·21대 국회 세대 구성.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16대·19대·21대 국회 세대 구성.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21대 총선 당선자 300명 중 174명이 1960~1969년생이다. 올해 51~60세. 원래 국회 다수를 차지하는 연령대다. 다만, 이번 21대 국회의 50대 당선자 수치(58%)는 이전보다 압도적이다. 8년 전 19대 총선 때 50대였던 1950년대 생 당선자는 의석의 50.3%를, 20년 전 50대였던 1940년대 생들은 16대 국회의 40.7%를 차지했다.

60년대생, 공천에서 압승 

21대 총선 양당 지역구 공천자 세대 비율.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21대 총선 양당 지역구 공천자 세대 비율.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60년대생의 국회 과점은 ‘선거 승리’보다는 ‘공천 승리’인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역구 후보 중 63%가 1960년대생이고, 미래통합당 후보 중엔 45%였다. 그 결과, 양당 소속 지역구 당선자의 61%가 60년대생이 됐다.

'30년대생→ 60년대생' 바통 터치

민주화 이후 국회 세대 점유율.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민주화 이후 국회 세대 점유율.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1981년 치른 11대 총선 이후 40년 치 국회 데이터를 분석했다. 특정 세대가 국회를 과점하는 현상은 30년 간격으로 나타났다. 80년대에는 당시 50대였던 1930년대생이 장기 집권했다. 30년대생들은 11대 국회 정수의 56%를 차지했고, 이후 15대 총선(1996년)까지 다수였다. 이를 이어받은 건 60년대생이었다.

양지가 있으면 음지가 있는 법. 장기집권 세대와 인접한 세대는 기를 못 폈다. 1940년대생들은 30년대생에 눌려 국회 진입이 늦었고, 후배들에 치여 금방 자리를 내줬다. 이른바 ‘샌드위치 세대’.

60년대생 '빠름', 70·80년대생 '느림'

60년대생의 질주, 후속 세대의 부진.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60년대생의 질주, 후속 세대의 부진.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60년대생의 질주에 70, 80년대생은 상대적으로 밀렸다. 각각 국회 진입 나이는 비슷했지만 이후 성장 속도가 달랐다.

‘64년생 김민석’이 32세 때 15대 국회에 입성한 후, 60년대생 의원은 '3명→ 13명→ 59명(15~17대)'으로 빠르게 늘었다. 그러나 17대 국회에서 ‘71년생 김희정’(당시 33세)으로 시작한 70년대생 의원은 1명→ 4명→ 10명(17~19대)으로 쉽사리 늘지 않았다. ‘81년생 김광진’(당시 31세)의 19대 국회 입성 후 80년대생들의 사정도 비슷했다(2명→ 2명→ 10명).

40대 의원은 300명 중 36명뿐

민주화 이후 국회 연령 비율.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민주화 이후 국회 연령 비율.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21대 국회에 40~49세 의원은 12%(300명 중 36명)로, 대한민국 국회 역사상 최저 비율을 기록했다. 20대 국회(14%)보다 더 줄었다. 2004년 출범한 17대 국회엔 40대 의원이 34.4%였다.

국회 밖 ‘문송’, 국회 안 ‘공송’

21대 국회 당선자 전공.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21대 국회 당선자 전공.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21대 국회의원의 전공을 분석해 봤다. 인문계와 이공계로 구분하면 인문계열이 86%로 압도적이다. 이학ㆍ공학ㆍ의학ㆍ치의학ㆍ간호학을 다 합해도 12%(8명)에 불과했다. 인문계열 취업이 어렵다는 의미의 ‘문송합니다(문과 출신이어서 죄송합니다)’라는 말이 있지만, 국회에선 '문송'할 필요가 없는 셈. 개별 전공 중에서는 행정학(18%)과 법학(17%)을 공부한 당선자가 많았다.

글=심서현 기자 shshim@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21대 국회 데이터 해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