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마비위기…의료공황 최대고비

중앙일보

입력

의대교수들의 응급실 진료 중단이 예고된 가운데 23일 정부와 여당이 의료계에 대한 최종 협상안을 낼 예정이어서 의료공황 사태가 최대 고비를 맞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이날 오전 고위당정협의를 갖고 의약분업 `선시행 후보완´ 입장을 재확인하고 ▲의료보험제도 개선 ▲의대정원 감축 ▲전공의 처우개선 ▲의료계 재정.금융.세제 지원책 등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정부로서는 최후통첩에 해당해 의료계의 수용여부가 주목된다.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는 이에앞서 의료계 요구에 대한 정부의 성의있는 조치가 없을 경우 23일 낮 12시부터 일제히 교수직을 사퇴하고 응급실에서 철수하기로 결의, 의료공황 사태를 예고했다.

다행히 병원 인턴,레지던트로 구성된 전공의협의회는 의대 교수들이 응급실에서 철수할 경우 이에 따른 진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응급진료단을 구성, 비상진료에 나서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날 의료계는 4일째 집단휴진에 들어가 전날과 마찬가지로 전국 1만9천여 동네의원중 80% 이상이 문을 닫고 전공의들이 파업에 들어간 종합병원도 외래진료가 중단돼 환자들의 고통이 계속됐다.

또 국공립병원과 보건소, 대형병원 응급실에 환자들이 평소의 2∼3배 이상 몰리는 현상이 이어졌고 병원 응급실들이 의료인력 부족을 겪으면서 비상진료체계의 차질도 점차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의대교수들의 응급실 철수에 대비해 국방부와 군의관 추가지원을 추진하는 한편 국립보건원,식품의약품안전청 등 비진료기관의 의료기관과 지방 공중보건의를 대도시 병원에 투입하는 비상대책을 마련중이다.(서울=연합뉴스) 이재웅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