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 바이러스, 유전자치료법에 사용될 수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에이즈 바이러스로 악명높은 HIV (Human immunod eficiency virus) 가 에이즈를 비롯한 면역체계의 질병을 치료하는 유전자 치료법에 사용될 전망이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탈 카프리 박사는 `분자 치료법´(Molecular Therapy) 최근호에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일부 유전자를 제거한 HIV를 이용, 치료목적의 유전자를 안전하게 전달하는데 성공했으며 항생제를 이용, 전달된 유전자의 형질발현도 조절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형질발현의 조절은 전달된 유전자로부터 합성된 단백질이 지나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말하고 실험용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HIV 벡터(운반체) 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점도 주목할만하다고 밝혔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바이러스 벡터는 레트로바이러스와 아데노바이러스다.

레트로바이러스는 전달한 유전자를 염색체에 삽입해 지속적인 형질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분열하지 않는 세포에는 유전자를 전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반면 아데노바이러스는 분열하지 않는 세포에도 유전자를 전달할 수는 있지만 전달된 유전자가 세포내에 일시적으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치료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그러나 HIV는 분열하지 않는 세포에도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의 장점과 전달한 유전자를 염색체 삽입해 영구적인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는 레트로바이러스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외에 HIV가 크기가 큰 유전자도 전달할 수 있어 에이즈 유전자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영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