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北核·FTA 집중논의 예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노무현(盧武鉉)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다자간 정상외교에 나섰다. 북핵 문제 해결 등을 위한 미국.중국.일본 방문에 이어 네번째 출국이다.

盧대통령은 6일 '아세안(동남아 국가연합)+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발리로 출국하면서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나 중증 급성호흡기중후군(SARS.사스) 사태에서 보듯 동아시아 전체 차원의 협력이 긴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盧대통령은 "이 지역에 대한 무역.투자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이같은 협력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측은 이번 출국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아세안이 지난해 미국.일본.중국.유럽연합에 이은 5위의 교역 상대이기 때문이다. 올 들어 지난 4월까지 해외건설 총 수주액의 20%를 차지해 건설시장 규모로는 중동에 이어 둘째다.

이같은 경제적 측면을 고려해 盧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동아시아 지역과의 무역.투자 자유화 방안 및 아시아 통합 노력에 대한 우리 정부의 협력 의지를 강조할 방침이라고 한다.

盧대통령은 7일 아세안 기업투자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안의 파트너십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며, 8일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도 미래지향적 협력의 틀 구축 방안을 논의한다. 6일 한-인도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계속되는 말레이시아.캄보디아.브루나이.인도네시아 정상들과의 개별 회담에서도 경제 협력이 주 의제가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盧대통령은 이번 정상외교에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각국의 공감대 확산에 주력할 계획이다.

盧대통령은 6일 출국 인사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동아시아 안보와 번영에 필수적인 과제임을 설명하고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동아시아 차원의 협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盧대통령은 7일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과 대북 평화번영 정책을 설명하고 아세안 국가들의 지지와 협력을 당부할 예정이다.

7일 열리는 한.중 양자회담과 한.중.일 3국 정상회담, 8일 한.일 양자회담은 특히 주목된다.

盧대통령은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의 3자 회담에서 북핵 문제를 포함한 동북아 안보 협력과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문제를 집중 논의할 계획이다. 회담 후에는 3국 간 향후 협력 방향을 제시한 공동선언도 채택될 예정이다. 한.일 양자회담에서는 최근 현안으로 떠오른 이라크 파병 문제와 관련해 양국의 입장에 대한 의견 조율이 진행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