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투표' 자가격리자, 동선 이탈이나 시간 초과시 경찰 신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 마지막 날인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서울역 대합실에 마련된 남영동 사전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함에 용지를 넣고 있다. 뉴스1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 마지막 날인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서울역 대합실에 마련된 남영동 사전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함에 용지를 넣고 있다. 뉴스1

보건당국은 투표를 위해 외출한 자가격리자들이 경로를 벗어나거나 시간을 지키지 않으면 경찰 신고 등 강제 조치에 나서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4일 정례브리핑에서 4.15 총선의 자가격리자 투표와 관련한 관리 방안 등을 밝혔다.

자가격리 앱 깔았다면 GIS로 동선 확인 #앱 없으면 이동 예상 시간 감안해 관리 #일반 유권자엔 투표 인증 시 예방 당부

중대본에 따르면 의심 증상이 없는 자가격리자는 일반 유권자 투표가 끝난 오후 6시에 투표하게 된다. 외출 시간은 오후 5시 20분부터 오후 7시로 제한된다. 모니터링 담당 공무원과 1대1 동행으로 투표소를 오가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인력 부족 등으로 동행이 어려운 지자체에선 다른 방식으로 관리한다.

박종현 범정부대책지원본부 홍보관리팀장은 "1대1 동행이 어려우면 자가격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GIS(지리정보시스템) 상황판으로 관리한다. (휴대전화에) 앱이 깔려있는 경우엔 이동 동선 확인이 가능하다. 동선을 벗어나면 (자가격리) 이탈로 간주해서 경찰 신고 등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자가격리 앱을 설치하지 못 한 경우엔 관리가 좀 더 복잡하다. 박종현 팀장은 "앱을 깔지 않은 사람은 출발 전 e메일이나 전화 등으로 담당 공무원에게 통보하고 집을 나선다. 집과 투표소 사이의 (이동) 예상 추정 시간이 있는데 그 시간에도 투표소 나타나지 않으면 이탈로 간주해서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겠다. 반대로 집에 갈 때도 추정 시간이 있는데 그때까지 도착했다는 통보가 없으면 경찰 신고 등을 하겠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자가격리자 중 투표 의사를 표명한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집계하고 있다. 다만 행정안전부에 집계 수치를 제출한 지자체가 있고, 아닌 지자체도 있어서 취합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밤까지는 대략적인 투표 참여자 규모가 나올 전망이다.

4.15총선 사전투표가 시작된 10일 오전 대구 수성구 만촌1동 행정복지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투표를 마친 유권자가 비닐장갑 위에 기표 도장을 찍어 인증샷을 남기고 있다. 뉴스1

4.15총선 사전투표가 시작된 10일 오전 대구 수성구 만촌1동 행정복지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투표를 마친 유권자가 비닐장갑 위에 기표 도장을 찍어 인증샷을 남기고 있다. 뉴스1

한편 보건당국은 일반 유권자들도 총선 투표 참여시 감염 예방에 신경써달라고 당부했다. 투표 대기줄에선 1m 이상 거리를 두고, 비닐장갑 사용이나 발열 체크 등 예방 수칙을 잘 지켜달라는 것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국민의 소중한 권리인 투표는 꼭 하되 그 외 밀폐된 공간에서 여러 사람이 밀집하는 모임이나 활동은 자제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최근 늘어나는 투표 인증과 관련해선 손등에 직접 도장을 찍기보단 투표확인증을 활용해달라고 밝혔다. 윤태호 방역총괄반장은 "투표 인증은 여러 대안적 수단이 있다. 투표확인증을 발급받아서 인증에 활용하는 방안도 있으니 좀 더 감염 (위험에서) 안전한 방법으로 투표 인증샷을 하는 걸 권한다"고 말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