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한국 올해 성장률 2% 턱걸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3%에서 2%로 내려 잡았다. 지난해 2% 성장하며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성적을 냈던 한국 경제가 올해도 반등하긴 어려울 것이란 예상이다. 발목을 잡은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다.

코로나로 기존보다 0.3%p 하향 #"선제적인 금리 인하 필요하다"

OECD는 2일(현지시간) 발표한 중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지난해 11월 대비 0.3%포인트 내려 잡았다. 코로나19에 따른 중국 경제의 충격이 한국에 고스란히 전달될 거라는 이유에서다.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사태로 패션·미용 관련 소비가 급감했다. 서울 명동의 한 의류매장 모습.뉴스1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사태로 패션·미용 관련 소비가 급감했다. 서울 명동의 한 의류매장 모습.뉴스1

OECD는 이날 올해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5.7%에서 4.9%로 대폭 낮췄다. 보고서는 “한국 경제는 중국과 밀접히 연관돼있는 만큼 코로나19 영향이 상대적으로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성장률은 기존에 예상한 2.3%를 유지했다.

OECD는 일본(0.6 → 0.2%)과 호주(2.3 → 1.8%)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한국과 같은 이유로 하향 조정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세계 경제도 크게 위축될 것이라고 OECD는 내다봤다. 보고서는 “코로나 19로 글로벌 밸류 체인, 관광업, 금융시장, 경제 심리 등이 영향을 봤을 것”이라며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2.4%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1월 전망치는 2.9%였다.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은 기존 2%에서 1.9%로, 유로존은 1.1%에서 0.8%로 각각 낮췄다.

OECD의 이런 전망은 그나마 다른 기관보다는 낙관적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최근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6%로 대폭 낮췄다. 앞서 무디스도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9%로 조정했다. 그만큼 코로나19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
이인호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한국경제학회장)는 “코로나19 여파로 자영업자 등이 이미 광범위하게 피해를 보고 있다”며 “앞으로 코로나19에 따른 파장이 얼마나 이어질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게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OECD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한국이 기준금리를 낮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코로나 19 영향을 크게 받은 국가들은 공중보건 지원, 기업과 노동자의 단기 피해 지원 등 맞춤형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한국과 호주 등의 경우 예방적 정책금리 인하가 경제 심리 회복과 부채조달 비용 인하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이달에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아울러 OECD는 “공공투자 등 재정의 적극적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세종=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