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당 쇄신·통합 기대에 속 시원히 부응 못 해”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664호 08면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6일 국회에서 정국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나 원내대표는 10일 임기를 마치고 물러난다. 김경록 기자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6일 국회에서 정국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나 원내대표는 10일 임기를 마치고 물러난다. 김경록 기자

“1년이 정말 전쟁 같았다.”

한국당 원내대표 10일 퇴임 #의총 열며 황 대표와 상의 안 했다? #임기 만료 되는데 제가 그랬을까요 #당 지지율 역전이냐 까먹느냐 기로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 못해 아쉬워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6일 1년의 임기를 마치며 이렇게 소회를 밝혔다. 지난해 12월 11일 당선된 나 원내대표의 임기는 10일 만료된다.

지난해 비대위 체제에서 한국당호의 키를 잡은 나 원내대표는 지난 4월 패스트트랙 저지를 지휘하고 국회 연설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김정은의 수석대변인’에 빗대는 등 ‘강수’를 보였다. 최근엔 여권의 선거법 개정안 본회의 상정을 막기 위해 199개 안건에 필리버스터를 신청하는 의외의 수를 두기도 했다. 그러면서 ‘셀러브리티형’ 정치인이란 이미지에서 벗어나 야성을 지닌 정치인으로 탈바꿈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대화와 타협보다는 극한 투쟁이 강조되면서 정치가 실종된 국회를 만들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나 원내대표는 “20대 국회는 사상 최악이다. 송구하다”면서도 “청와대와 여당이 야당과의 협치를 포기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마침 56번째 생일이었던 6일 국회 한국당 원내대표실에서 나 원내대표와 만났다.

가장 아쉬웠던 점은 뭔가.
“패스트트랙 법안과 이와 관련한 수사를 어떻게 마무리하느냐 하는 문제가 남아 있는데 그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쉬움이 남고 미안한 마음이 있다. 원내대표 임기를 연장하려고 했던 것도 자리에 대한 미련이 아니라 이건 내 책임이라고 생각해서였다. 전체적인 틀은 내가 세운 전략이니까. 임기를 마치는 10일까지 패스트트랙 법안은 절대 마무리되지 않는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처음 만났을 때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가 되겠다고 했는데 전혀 다른 상황이 됐다.
“개인적 신뢰나 인간적인 부분에서 서로 존중하지 않은 건 아닌데, 이 원내대표는 전임자인 홍영표 원내대표가 패스트트랙이란 짐을 얹어주고 갔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어제도 만나 1시간 넘게 얘기했다. 민주당이 원하는 본심이 뭔지 대화했지만 결국 서로 풀지 못한 숙제들이 많다.”
선거법 개정안은 추진하기로 합의한 뒤 약속을 어겼다는 비판이 있다.
“전혀 약속한 적 없는데 정의당이 그렇게 프레임을 만들었다. 당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단식하고 있는데 ‘밥 좀 먹게 해달라’고 해서 단식 그만하시라며 ‘검토한다고 써달라’고 했을 뿐이다. 그런데 의원 정수를 확대하기로 했다는 식으로 또 이야기를 꾸몄다. 지난번처럼 그냥 넘어가면 안 되겠다 싶어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했더니 그 뒤로는 그 말을 안 한다.”
199개 법안에 필리버스터를 신청해 민생법안 처리를 막았다는 비판도 받았다.
“법안 전체에 걸지 않으면 필리버스터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지난달 29일에도 문희상 국회의장과 이 원내대표를 만나 ‘5건만이라도 필리버스터 권한을 주면 나머지 194건은 협조하겠다’고 했는데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저쪽에서 필리버스터 권한을 보장하지 않으면 194건을 처리한 뒤 문 의장이 본회의를 폐회할 수도 있기 때문에 불가피했다. ‘민식이법’ 등이 처리되지 않은 건 명백히 여당의 책임이다.”
18대 국회는 동물국회, 19대 국회는 식물국회라 했는데 20대 국회는 그냥 최악이라고들 한다. 이유가 뭘까.
“문재인 정권이 급한 상황에 내몰리니 너무 무리하게 가고 있다. 20대 국회 마지막에 패스트트랙에 올린 법안을 처리해야 한다는 절체절명의 위기의식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야당에 조금도 (협상의) 여지를 안 준다. 이 원내대표도 운신의 폭이 크지 않다.”
최고위가 원내대표 임기 연장을 사실상 거부하면서 월권이란 비판이 나왔다.
“그 부분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것은… (어려울 것 같다). 당과 국민과 국가를 생각하며 말을 아낄 때다. 하고 싶은 말도 있지만 지금은 말을 아끼는 게 내가 할 일이다.”
의원총회를 열기로 하면서 황 대표 측과 사전에 상의하지 않았다는 말도 나왔다.
“임기가 만료되는데 이에 대한 논의를 전혀 안 했다? 제가 그랬을까요?”
9개월가량 손발을 맞춘 황 대표는.
“애국심이 강하신 분이다.”
김세연·김영우 등 소장파 의원들이 연이어 불출마 선언을 했다. 당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조국 사태 등으로 지금까지 얻은 지지율을 도로 까먹느냐, 역전하느냐인데. 그런 부분에서 현재 당의 모습은 조금 안타깝고 아쉽다. 쇄신과 통합이란 측면에서 기대에 속 시원히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보수 통합에 대한 생각은.
“국민은 통합을 원한다. 안 된다면 차선책인 연대도 생각해 봐야 하지만 통합을 위해 최대한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내려놓고 다른 목소리를 모아나가는 결단이 필요하다. 이젠 거의 라스트 미닛 아닐까.”
올해 의외로 강경한 모습을 자주 보였다.
“문재인 정부가 그렇게 만들었다.”
차기 원내대표에게 하고 싶은 말은.
“원내대표 자리가 욕먹는 자리니까. 욕먹는 걸 두려워하지 말고 당당하게 해라, 안 그러면 야당 원내대표는 하기 어렵다고 말하고 싶다. 지금 같은 정치 환경에선 용감한 리더십이 필요한 때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