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하루 7명꼴 자살하는 '노인의 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오늘은 일곱번째로 맞는 노인의 날이다. 우리나라도 불과 7년 뒤인 2010년에는 65세 이상의 노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10%를 넘어서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출산율이 낮아지고 수명이 연장되면서 고령화 추세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 사회를 준비하는 정부의 대책이 허술하고, 민간부문도 이를 감당할 여력이 없다는 점은 매우 걱정스럽다.

당장 끼니를 거르는 결식노인들이 수두룩한 게 이를 웅변한다. 한 복지단체의 조사에 따르면 독거노인의 47%가 하루에 한끼 이상을 거르고 있다. 국고로 지원되는 무료급식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은 모두 10만여명인데 정부 지원금은 2000년 이후 한푼도 늘지 않았다. 이러니 노인 자살률이 전체인구 자살률의 2.3배에 이르러 하루에 7명꼴로 노인이 자살하는 비극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제 정부와 민간이 함께 나서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우선 정부는 단기대책으로 최소한 무의탁 노인들의 의식주를 해결하는 시책을 펴고 종합적인 의료.복지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아울러 가족의 울타리 안에서 노인이 노후를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선 날로 퇴색해가는 경로효친사상을 되살리는 교육을 장려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노인들에게도 일자리를 만들어 주는 일이다. 노인들이 일하는 것은 수입을 더 얻는다는 측면 외에도 무기력에 빠질 그들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장기 대책으로 고령화 사회가 몰고 올 문제점을 민관이 깊이있게 연구.접근해야 한다. 고령화 사회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될 사회 전반의 침체를 극복할 방안을 미리부터 마련, 차근차근 대비해야 한다. 정년연장.평생교육.재취업.자원봉사 등 고령인구의 활용방안을 범국가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정부는 고령화 시대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생산력 감소, 복지비용 증가 등으로 국가경쟁력이 소진해 3류 국가로 추락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