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늘면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 낮아진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가계 수입이 늘어나면 생존율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소득 수준이 높지 않더라도 수입이 늘어나면 심혈관질환에 따른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팀 18만명 분석 #수입 정체된 하위층 사망률 최악 #고지혈증 관리 등 제대로 못한 탓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성지동 교수팀(가정의학과 송윤미, 순환기내과 홍경표 교수)은 2002~2013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를 토대로 17만8812명의 수입, 건강검진 이력, 사인 등을 비교 분석했다. 정기적인 건강검진 이력이 있고 허혈성 심장 질환, 뇌졸중, 심부전, 암 등의 병력이 없던 사람들만 선별했다. 연구팀은 연구가 시작된 2002년 당시 소득을 기준으로 대상자를 상위 30%, 하위 30%와 중위 40%의 세 그룹으로 나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10년의 추적 기간동안 연구 대상자의 4.1%가 사망했는데 이 중 0.9%가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으로 숨졌다. 소득 계층별로 보면 상위계층 사망률은 3.6%였고, 사망자의 0.7%가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했다. 중·하위 소득층에 비해 사망률과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가장 낮았다. 소득 하위계층 전체 사망률은 5.5%, 심혈관질환 사망률은 1.2%였다. 연구팀은 “소득 계층에 따라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다르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상위계층은 수입 변동에 따른 심혈관질환 사망률의 변동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수입의 오르내림(증가·감소)이 있던 상위계층 사람들은 사망률이 1%로 가장 낮았다. 연구 시작 시점보다 수입이 감소한 이들의 사망률은 4%로 다소 높았다.

중위계층부터 수입 변동에 따른 사망률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수입이 변동 없이 고정되거나 감소한 사람은 사망률이 8~9%로, 수입이 계속 상승하거나 오르내림을 경험한 사람에 비해 사망률이 4배 이상 높았다. 수입이 감소한 상위계층 사망률(4%) 보다도 2배 이상 높았다.

하위계층 중 수입 변동이 없던 이들의 사망률은 13%로 연구 대상 가운데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심지어 수입이 감소하던 상위 소득층보다도 3배 이상 높았다. 반면 소득 분위와 관계 없이 소득이 증가하거나 오르내림을 경험한 사람은 사망률이 2~4%로 큰 차이가 없었다.

소득 분위에 따라 사망률이 달라지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연구팀은 소득 하위계층은 흡연, 운동 부족, 나쁜 식습관 등 건강 위험요인들의 영향과 함께 고지혈증에 대한 치료 등 적절한 예방 조치를 받지 못해 심혈관질환에 따른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했다. 과거 미국 연구에서 수입이 늘면 건강관리에 신경쓰게 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연구팀의 성지동 교수는 “소득 수준에 따라 심혈관질환 사망률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불평등이 실제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소득이 증가한 경우에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며 “소득 양극화를 완화시키는 복지 정책이 국민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 예방심장의학(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6월호에 게재됐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