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저소득층·자영업자 10명 중 3명, 100원 벌어 40원 빚갚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저소득층·자영업자의 약 30%가 가처분소득의 40% 이상을 원리금을 갚는데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원을 벌어 40원을 빚 갚는데 쓰는 셈이다. 취약계층일수록 빚을 제 때 갚지 못해 '빚의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통계청에서 낸 '통계 플러스 여름호'에서 윤병우 통계개발원 경제사회통계연구실 주무관이 작성한 '우리나라 가계부채 수준과 부채 가구 특성'에 따르면 소득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 중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30.5%는 가처분소득의 40% 이상 원리금 상환에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자영업자의 25.8%는 연간 가처분소득(이자 지급 전)의 40% 넘는 금액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했다.

서울의 한 시중은행 주택자금대출 창구. [연합뉴스]

서울의 한 시중은행 주택자금대출 창구. [연합뉴스]

윤병우 주무관은 "저소득층 가구에서 구조적인 취약성이 나타나며 원리금 상환으로 생계에 큰 부담을 느끼는 가구 비율이 높았다"고 분석했다. 일례로 가구주가 임시일용 근로자인 가구의 13.5%는 자산보다 부채가 많았다.

원리금 상환은 저소득층일수록 많은 부담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1분위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34%는 원리금 상환이 생계에 매우 부담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1년 뒤 금융부채는 감소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소득수준이 낮으면 빚을 갚기 어렵다고 예상했다. 실제로 대출기한이 지나서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한 소득 1분위금융부채 보유 가구 비중은 19.1%로 다른 소득분위 가구에 비해 높았다.

배경에는 저소득층의 '금융 소외'도 있었다.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소득 1분위 차주의 대출 잔액이 전년동기대비 14% 줄은 것으로 미뤄볼 때, 취약 차주들이 제도권 금융회사로부터 외면받는 '금융 소외 문제'가 생긴 것으로 우려된다"고 짚었다.

은퇴자 빚 문제도 또 다른 복병이다. 서병호 연구원은 "은퇴자 차주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건전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향후 소득감소와 의료비 급증 등으로 은퇴자들이 대출을 갚기 점점 어려워진다는 분석이다. 2015년말 16.7%를 차지하던 60세 이상 차주 비중은 지난해말 19.5%까지 늘었다.

국내 가계부채는 수년째 상승일로를 걷고 있다. 한국은행 가계신용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국내 가계부채는 1534조 6000억원으로 2002년 4분기 464조7000억원에 비해 3.3배 증가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경제의 '뇌관'인 가계부채는 해외와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었다. 해외 주요국과 경제 규모·소득·인구를 고려한 가계부채 수준을 비교해본 결과,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4분기 기준 97.7%였으며 전년 대비 2.9%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증가 속도 역시 빨랐다.

우리나라의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97.7%)은 스위스·호주·덴마크·네덜란드·캐나다·노르웨이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전년 대비 증감 폭(2.9%포인트)도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나 빠른 증가속도를 보였다. 전기 대비 증감 폭(0.8%포인트)은 홍콩·브라질·뉴질랜드·칠레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7년 185.9%로 해외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이었다. 이 비율은 2008년 143.3%에서 2017년 185.9%로 42.6%포인트 증가했다.

윤 주무관은 "국가별 인구로 환산한 가계부채 규모는 주요 국가보다 우리나라의 증가 폭과 증가율이 높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1인당 가계부채도 2008년 대비 2.36배 증가한 수치로 다른 국가보다 증가 폭이 큰 편이었다. 우리나라 1인당 가계부채는 2017년 2만9871달러로 2008년 1만2640달러에 비해 1만7231달러 증가했다.

세종=서유진 기자 suh.youjin@joongang.co.kr

관련기사

자료: PIXABAY

자료: PIXABAY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