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579만, 열 중 넷 무직…맞벌이는 40대·고학력이 많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맞벌이 가구가 지난해 21만9000가구 늘었다. 2011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이에 전체 유(有)배우자 가구에서 맞벌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46.3%로 역시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25일 이런 내용의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2018년 하반기 기준)을 발표했다.

1인 가구 지난해 17만 가구 늘어 #맞벌이 비중 46.3% 역대 최고

이에 따르면 맞벌이 부부의 비중은 2013년 42.9%에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혼자 벌어서는 가계 살림을 꾸리기가 어려워지면서 ‘맞벌이’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영향이 크다. 여기에 일·가정 양립정책의 효과로 과거에 비해 기혼 여성이 직장 생활을 계속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된 점도 한몫했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연령대별로는 40~49세 유배우자 가구 가운데 52.1%가 맞벌이를 하고 있다. 이어 50~64세 48.7%, 30~39세 47.3%, 15~29세 36.8%였다. 40대 이상은 초등학생 이상 자녀를 둔 경우가 많은데, 교육비 등을 장만하기 위해 부부가 함께 일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자녀가 성장할수록 부모의 맞벌이 비율이 높아졌다. 6세 이하 취학 전 자녀를 둔 부부의 맞벌이 비중은 44.2%였지만, 자녀가 초등학생인 7~12세 때는 54.2%, 중학생 이상인 13~17세는 59.6%로 껑충 뛰었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 비중은 51%로 전년보다 2.4%포인트나 올랐다.

산업별로는 가구주가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83.4%로 가장 높은 맞벌이 비중을 보였다. 도소매·숙박음식점업(62.7%),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56.8%)도 비중이 높았다. 이들 업종은 자영업의 비중이 높은 업종이다. 가구주의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은 48.6%, 고졸은 47.1%, 중졸 이하는 38.8%가 맞벌이 부부였다. 주말부부처럼 함께 살고 있지 않은 ‘비동거 맞벌이’는 68만2000가구로 부부 18쌍 중 한 쌍(5.6%)꼴이었다.

한편 1인 가구는 지난해 10월 기준 578만8000가구로 전년보다 17만4000가구(3.1%) 늘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9.2%로 해마다 증가 추세다. 성별로는 남자가 204만1000가구(55.7%)로 여자보다 15.4%포인트 많았다.

이 가운데 취업자인 1인 가구는 353만7000가구로 61.1%다. ‘나홀로 가구’ 5명 중 2명은 일자리가 없는 ‘무직’이라는 의미다. 1인 가구 가운데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보니 취업자 가구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1인 가구의 취업자 비중은 2015년 60.6%, 2016년 60.5%, 2017년 61.1%로 개선되는 추세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50~64세와 65세 이상에서 일하는 1인 가구가 많이 늘었다”며 “산업별로 보건복지와 사회복지 관련 일자리가 많이 늘어난 것을 연결해서 볼 때 정부의 재정 일자리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나홀로 가구’ 월급쟁이 10명 중 4명은 지난해 하반기 월평균 2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급여를 받았다. 구체적으로 ▶100만원 미만 11.3% ▶100만~200만원 미만 24.6% ▶200만~300만원 미만 35.7% ▶300만~400만원 미만 17.1% ▶400만원 이상 11.3%였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