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예수는 큰 정치인, 링컨도 그 뒤를 따랐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하버드대 신학대학의 데이비드 홀런드 교수는 ’교회는 자신이 ‘세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존재한다는 첫 번째 목적을 짚어봐야 한다. 그리고 지역 사회에 공헌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회의 본질인 그리스도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며 교회가 놓치지 말아야 할 3가지를 꼽았다. [강정현 기자]

하버드대 신학대학의 데이비드 홀런드 교수는 ’교회는 자신이 ‘세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존재한다는 첫 번째 목적을 짚어봐야 한다. 그리고 지역 사회에 공헌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회의 본질인 그리스도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며 교회가 놓치지 말아야 할 3가지를 꼽았다. [강정현 기자]

지난달 27일 서울 장충동에서 하버드대 신학대학 교회사 석학인 데이비드 홀런드(46) 교수를 만났다. 그는 한국의 각 종교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종교로 마음을 돌이키기 위한 영적단합’이란 주제로 강연도 했다. 홀런드 교수는 하버드대에서 종교학과 미국학을 가르치고 있다. 그에게 현대사회에 몰아치는 ‘탈종교화’에 대해 물었다.

하버드대 신학대학 홀런드 교수 #당파 뛰어넘는 ‘원수를 사랑하라’ #자기 편만 보는 것은 편협한 정치 #죽음도 각오한 링컨의 용기 존경 #무종교인도 영성에 대한 관심 커

젊은이들의 종교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줄고 있다. 미국은 어떤가.
“세계적인 현상이다. 미국 장로교 제임스 화이트 목사가 『더 라이즈 오브 더 넌스』(The Rise of the Nones)라는 책을 낸 적이 있다. 여기서 ‘넌스(Nones)’는 특정 종교에 소속되지 않은 사람을 가리킨다. 미국에서는 종교를 표시할 때 무종교인은 ‘None’이라고 적힌 칸에 마크를 한다. 그런 사람들을 ‘넌스(Nones)’라고 부른다. 이들의 숫자가 점점 늘고 있다.”
이유가 뭐라고 보나.
“화이트 목사의 결론은 명확하다. 교회가 자신의 본질인 영적인 사명을 추구하지 않고, 교회 권력을 키우고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더 관심을 쏟기 때문이다. 거기에 실망하고 등을 돌리는 젊은이들이 많다.”
그렇다면 젊은 세대는 영적인 일(Spiritual thing)에 관심이 없나.
“그렇지 않다. ‘영적인, 그러나 종교적이진 않은(Spiritual, but not religious)’이란 슬로건이 있다. 종교를 갖고 있지 않다고 해서 영적인 일에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종교의 울타리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영적인 관심을 피력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에이브러햄 링컨

에이브러햄 링컨

이 말끝에 홀런드 교수는 ‘연과 실’ 이야기를 꺼냈다. “하늘을 나는 연을 보라. 거기에는 실이 달려 있다. 연에 달린 실을 어떻게 봐야 하냐. 어떤 사람은 연을 자꾸 아래로 끌어내리는 장애물로 본다. 또 어떤 사람은 연이 자유롭게 날도록 도와주는 도구로 본다. 우리는 실이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지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종교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지 말이다.”

실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나.
“실은 연을 위해 존재한다. 실은 ‘본질적 자유’를 위한 도구일 뿐이다. 실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 종교의 조직과 제도와 율법이 목적이 아니다. 하늘을 나는 연이 목적이다.”

홀런드 교수는 교회사를 전공했다. 하버드대에서 교회사를 가르치는 동시에 보스턴에서 회중 4500여 명을 이끄는 예수그리스도후기성도교회의 스테이크(교구) 회장이기도 하다.

한국은 일제강점기와 전쟁, 군부독재와 민주화 과정을 거쳤다. 그 와중에 보수와 진보 간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가장 먼저 상대방도 인간이라는 걸 항상 기억해야 한다. 영어에 ‘디휴머나이제이션(Dehumanization)’이란 용어가 있다. ‘비인간화’란 뜻이다. 상대편을 정치적으로 공격하는데 몰두한 나머지 상대방이 ‘인간’임을 망각하는 일이다.”

홀런드 교수는 예수와 정치를 말했다. “예수는 ‘원수를 사랑하라’고 했다. 예수가 일종의 정치를 한 거라면, 굉장히 ‘큰 정치’를 한 셈이다. 자신의 정치적 울타리 안에 원수도 들어가 있지 않나. 만약 한국의 정치인들이 상대방을 인간으로 먼저 존중하지 않는다면 그건 ‘작은 정치’ ‘편협한 정치’를 하는 거다. 정치적 갈등은 서로 동의하지 않는 것, 불일치를 보이는 것에서부터 계속 갈라져 나간다. 만약 예수가 지금 정치를 한다면 ‘우리에게 어떤 유사점이 있는가’ ‘어떤 것에 서로 동의하는가’를 먼저 찾고, 거기서부터 시작할 것이다.”

미국 역사에서 ‘큰 정치’를 한 인물이 있다면.
“내가 존경하는 역사적 영웅은 에이브러햄 링컨이다. 미국도 한국처럼 내전을 겪었다. 남북전쟁은 아주 고통스러운 시기였다. 링컨 대통령은 두 번째 취임 연설을 한 직후에 암살당했다. 그는 연설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서로에 대한 사랑을 가지고, 서로 받은 상처를 메워주고 닦아주고, 이걸 통해서 치유하고 화해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암살당했다. 당시 미국인들이 얼마나 링컨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는가를 보여주는 일화다.”
링컨은 그걸 몰랐나.
“링컨도 알고 있었다. 그런데도 그런 연설을 했다. 용서를 간청하고 화해를 부르짖었다. 링컨은 ‘치유의 시기’가 도래했음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링컨의 지지자들조차 ‘너무 빨리 용서 이야기를 꺼내는 것 아니냐’ ‘너무 빨리 용서하는 것 아니냐’며 반대했다. 결국 권총으로 암살을 당했지만, 링컨은 용기가 있었다.”
그런 용기는 어디서 나오나.
“‘큰 정치’를 하려면 용기가 필요하다. 지지자들로부터 욕먹는 걸 두려워해선 안 된다. 그들의 입맛에 맞는 이야기만 하는 건 작고 편협한 정치다. 그런 사람은 ‘큰 정치’를 할 수가 없다. 예수는 자기 자신을 보호하려고 하지 않았다. 대신 진리의 메시지를 전하려고 했다. 링컨도 그랬다. 자신을 보호하는 대신 미국 사회에 가장 필요한 메시지를 알리려고 했다. 종교 지도자도 그렇고, 정치인도 그렇다. ‘큰 정치’에는 큰 용기가 필요하다.”

백성호 기자 vangogh@joongang.co.kr

백성호 기자의 현문우답

백성호 기자의 현문우답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