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文, 취임 2주년 기자회견 대신 왜 1대1 대담을 택했을까?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은 9일 취임 2주년을 맞아 오후 8시30분부터 80분간 일대일 생방송 대담을 한다. 송현정 KBS 기자가 문 대통령을 인터뷰하는 형식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뉴욕 파커 뉴욕 호텔에서 미 언론매체 FOX News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18.9.25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뉴욕 파커 뉴욕 호텔에서 미 언론매체 FOX News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18.9.25

통상 진행해온 기자회견 대신 방송 인터뷰 형식을 요청한 것은 문 대통령이었다고 한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현재 국면에서는 파편적 질문에 답하는 것보다 주요 사안에 대한 깊이 있고 솔직한 메시지가 필요하다”며 “특히 문 대통령이 지난해 보수 성향의 미국 폭스뉴스와 인터뷰 한 뒤 유사한 형식의 대담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한 것 같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당초에는 합리적 보수 인사를 대담자로 정해 토론 형식으로 진행하자는 아이디어에 따라 관련 인사를 섭외해보려고도 했었다”며 “결국 지나치게 전문적인 토론보다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현직 기자가 진행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라고 최종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영국 공영방송사인 BBC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종전선언은 시기의 문제일 뿐, 반드시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청와대 제공) 2018.10.12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영국 공영방송사인 BBC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종전선언은 시기의 문제일 뿐, 반드시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청와대 제공) 2018.10.12

통상 낮시간에 진행됐던 기자회견과 달리 저녁시간 대담을 택한 것도 대담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라고 한다. 또 다른 핵심관계자는 “집중도가 떨어지는 오전이나 낮시간대와 달리 저녁 대담은 차분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보다 효과적”이라며 “특히 활자보다는 대통령의 육성을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 더 낫다는 판단도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대담이 공영방송인 KBS와의 단독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되면서 대통령의 대담을 생중계하는 방송사가 KBS·YTN·연합뉴스TV·MBN 등 7곳에 그쳤다. 기존 기자회견의 경우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 뉴스채널 등 10여 곳의 채널을 통해 동시 생중계됐다.

문 대통령은 사전 질문 협의없이 진행했던 그동안의 기자회견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KBS측으로부터 질문지를 미리 전달받지 않았다고 한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방송사와는 외교안보와 국내 현안, 경제문제 등의 큰 주제와 순서 정도만 논의됐고 구체적 질문은 공유한 것이 없다”며 “이 때문에 어떤 질문에도 솔직한 답변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을 거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cnn 폴라 핸콕스 서울지국 특파원에게 인터뷰를 마친 후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를 선물하고 있다. 2017.9.14 청와대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cnn 폴라 핸콕스 서울지국 특파원에게 인터뷰를 마친 후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를 선물하고 있다. 2017.9.14 청와대제공

또 다른 관계자는 “당초 KBS는 경제 관련 질문을 먼저 진행하려 했지만 협의를 통해 외교안보 이슈에 대한 대담이 먼저 이뤄지게 됐다”며 “최근 한반도 상황에 대한 무게감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KTX 경강선 시승 행사중 대통령 전용고속열차에서 미국 NBC방송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17.12.19 청와대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KTX 경강선 시승 행사중 대통령 전용고속열차에서 미국 NBC방송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17.12.19 청와대제공

문 대통령이 국내 개별 언론사와 인터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외국 순방을 계기로 현지 언론과 인터뷰를 한 적은 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12월 미국 NBC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추가 도발하지 않으면 평창올림픽 기간에 한ㆍ미 연합 군사훈련의 연기를 검토할 수 있고 이를 미국 측에 전달했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지난해 9월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는 “남북통일 이후에도 동북아 전체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주한미군이 계속 주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