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장소·형식 구애없이…남북정상회담 본격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 내용을 환영한다고 밝히면서, "이제 남북정상회담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추진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북한의 여건이 되는대로 장소·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남북이 마주 앉아 2차례의 북미 정상회담을 넘어서는 진전될 결실을 볼 방안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질적 논의를 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북한도 대화를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면서 "최고인민회의에서 국무위원장으로 재추대된 김 위원장은 시정연설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구축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안팎으로 거듭 천명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또한 북미대화 재개와 제3차 북미정상회담 의사를 밝혔다"며 "김 위원장의 변함없는 의지를 높이 평가하며 크게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김 위원장은 또한 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 공동선언을 철저히 이행함으로써 남북이 함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며 "이 점에서 남북이 다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 대해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김 위원장은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미국이 올바른 자세를 가지고 우리와 공유할 방법론을 찾은 조건에서 제3차 조미(북미)수뇌회담을 하자고 하면 한 번은 더 해볼 용의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또 "(남측은) 오지랖 넓은 '중재자'·'촉진자' 행세를 할 게 아니라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돼야 한다"고 말했으나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어떤 어려움 있더라도 남북공동선언을 차근차근 이행하겠다는 분명하고도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다"며 "서로의 뜻이 확인된 만큼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할 여건이 마련됐다"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나는 지금까지 그랬듯 또 한 번의 남북정상회담이 더 큰 기회와 결과를 만들어 내는 디딤돌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나와 김 위원장은 불과 1년 전 1차 남북정상회담으로 전 세계에 한반도 평화의 출발을 알렸다"며 "오랜 적대·대립의 한반도 질서를 평화·협력의 새로운 질서로 바꾸는 일이 쉬운 일이라고 결코 생각하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많은 변화를 함께 이뤄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일촉즉발의 대결 상황에서 대화 국면으로 대전환을 이루고 두 차례의 북미 정상회담까지 하는 상황에서 남북미가 흔들림 없는 대화 의지를 가지고 함께 지혜를 모은다면 앞으로 넘어서지 못할 일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평화를 완성하고 번영·통일로 가는 길은 반드시 이뤄야 하는 온겨레의 염원이라는 역사적 소명 의식을 갖고 흔들림 없이 그 길로 나아가겠다"고 다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환담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환담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뉴스1]

한편 이번 한미정상회담에 대해서는 "하노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제기된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북미 대화의 동력을 되살려 한반도평화 프로세스를 흔들림 없이 추진하기 위한 동맹간 긴밀한 전략 대화의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한미양국은 외교적 해법을 통한 한반도의 완벽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원칙을 재확인했고, 빠른 시일 내에 북미대화의 재개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아울러 남북간 군사적 긴장 완화와 남북관계 개선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대화 동력 유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인식을 공유했다"며 "특히 남북미 정상간의 신뢰와 의지 바탕으로 하는 톱다운 방식이 한반도평화 프로세스에 필수적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과 기대를 표명했고, 김정은 위원장이 결단할 경우 남북미 3자 정상회담도 가능하다는 뜻을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하노이 북미회담의 대화를 발전시켜 다음 단계의 실질적 성과 준비하는 과정 들어섰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에 대한 한결같은 의지와 전례없은 길을 걷고 있는 담대한 지도력에 깊은 경의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권혜림 기자 kwon.hyer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