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특별법 제정하라"…2일 포항서 전례 없는 1만여명 집회

중앙일보

입력

경북 포항11·15지진 범시민대책위원회가 1일 오후 정부지진피해배상을 촉구하는 손 피켓을 제작하고 있다. [뉴스1]

경북 포항11·15지진 범시민대책위원회가 1일 오후 정부지진피해배상을 촉구하는 손 피켓을 제작하고 있다. [뉴스1]

2일 오후 2시 경북 포항 도심인 북구 육거리에서 ‘지진 피해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린다. ‘포항 11·15 지진 범시민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주최하는 범시민결의대회엔 주최 측 추산 2만 명(경찰 추산 4000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포항도심 육거리서 대규모 '범시민궐기대회' 열려 #김정재 의원 발의 '포항지진 특별법안' 제정 촉구 #주최측 2만명·경찰 4000명 추산…최소 1만명 예상

주최 측과 경찰의 참가 예상 인원이 큰 차이를 보이지만, 지역에서는 관변단체를 중심으로 포항시와 정계·노동계 인사들이 대거 참가해 약 1만 명의 인파가 모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인구 50만명의 포항에서는 전례가 없는 집회 규모다.

범시민결의대회에서 참가자들은 지진 피해 특별법 제정을 촉구할 계획이다. 이 특별법은 김정재 자유한국당 국회의원(포항 북구)이 대표 발의한 ‘포항지진 특별법안’을 말한다. 특별법안은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안’과 ‘포항지진 진상조사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안’ 등 2개 법안으로 구성돼 있다.

김정재 자유한국당 의원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포항지진 특별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김정재 자유한국당 의원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포항지진 특별법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포항지진 특별법안은 2017년 11월 15일과 지난해 2월 11일 포항에서 발생한 각각 규모 5.4, 4.6 지진으로 경제적·신체적·정신적 피해를 본 사람에 대한 피해 구제와 생활·심리안정 지원이 주된 내용이다. 또 지진의 발생원인과 책임 소재의 진상을 밝히고 재난의 예방과 대응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포항지진 특별조사위원회’를 독립기구로 설립하도록 규정했다.

이날 김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특별법이 없는 상황에서는 피해 주민들이 끝도 모르는 민사소송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다”며 “피해 주민의 소송부담 경감과 국가의 책임 있는 배상, 그리고 신속하고 공정한 진상조사를 위해 특별법 제정이 꼭 필요하다”고 발의 취지를 설명했다.

집회는 포항 육거리에서 차량 진입이 통제되는 포항중앙상가 실개천거리를 활용해 열릴 계획이다. 차량 통행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다. 집회가 열리는 동안 포항중앙상가 실개천거리 700여m가 집회 참가자들로 가득 찰 전망이다.

김동욱 한국서예퍼포먼스협회 상임 고문이 1일 포항시외버스터미널 앞에서 포항지진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뉴스1]

김동욱 한국서예퍼포먼스협회 상임 고문이 1일 포항시외버스터미널 앞에서 포항지진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뉴스1]

포항청년회의소, 포항향토청년회, 포항지역발전협의회 등 대책위 소속 단체 회원들은 지난달 31일과 이달 1일 죽도시장과 포항종합버스터미널 등 시내 곳곳에서 집회 참여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이들은 거리에 홍보 현수막을 설치하고 온·오프라인에서 홍보 활동을 펼쳤다.

집회에서 대책위는 시민들에게 청와대 국민청원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할 예정이다. ‘11·15포항지진 피해배상 및 지역재건 특별법 제정을 간곡히 요청합니다’라는 제목의 국민청원엔 1일 오후 6시 현재 8만1929명이 참여했다.

청원 내용엔 “인재로 결론이 난 지진의 피해 보상을 받고 침체된 지역을 되살리려면 특별법 제정이 절실하다”며 “소송 비용을 대지 못하는 저소득층, 몸이 불편한 노년층,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은 보상을 받을 길이 막막한 개별소송보다는 특별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담겼다.

지난달 31일 포항11·15지진 범시민 대책위원회 회원들이 경북 포항시 북구 죽도시장 앞에서 범시민결의대회 참가를 촉구하는 홍보물을 시민들에게 나눠주고 있다. [사진 포항11·15지진 범시민 대책위원회]

지난달 31일 포항11·15지진 범시민 대책위원회 회원들이 경북 포항시 북구 죽도시장 앞에서 범시민결의대회 참가를 촉구하는 홍보물을 시민들에게 나눠주고 있다. [사진 포항11·15지진 범시민 대책위원회]

공원식 대책위 공동위원장은 “청와대 국민청원 등 특별법 제정과 포항시민들이 입은 정신적· 물질적 피해에 대한 배상 요구는 결코 정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포항시민들도 모두 한 목소리를 내어 지진으로 무너진 지역경제와 ‘포항’이란 도시 브랜드를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항=김정석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