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난해 미세먼지로 4조원 손해봤다 … "하루 1586억원 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미세먼지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4조원을 넘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지난 11일 서울 도심이 뿌옇게 흐려 있다. [뉴스1[

지난해 미세먼지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4조원을 넘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지난 11일 서울 도심이 뿌옇게 흐려 있다. [뉴스1[

지난해 미세먼지로 인한 생산활동 손실이 4조원을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가장 타격을 입은 업종은 실외에서 작업하는 농림어업이었고, 30·40대와 고소득 계층에서 미세먼지에 대처하기 위한 지출을 많이 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7일 발표한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세먼지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4조230억원으로 추산됐다. 연구원은 지난달 18~28일 전국 성인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자체 분석을 통해 이처럼 추산했다고 밝혔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연구원은 산업별 체감 생산활동의 제약 정도와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일수 등을 고려해 경제적 손실 비용을 추산했다. 설문을 통해 나온 체감 생산활동 제약 정도를 명목 국내총생산(GDP)으로 환산한 뒤, 사업별 종사자 수 비율로 가중평균을 냈다. 이를 하루 손실금액으로 나눈 뒤 전국 평균 미세먼지·초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일수(25.4일)를 곱해 연간 비용을 계산했다.

미세먼지로 인한 경제손실 4조230억원은 명목 GDP의 0.2% 수준이다.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1일당 손해비용은 약 1586억원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주로 실외에서 일하는 농림어업이 8.4%로 직접 느끼는 제약 정도가 가장 컸다. 기타 서비스업이 7.3%, 전기·하수·건설이 7.2%였다. 근무지별로는 실외 근무자의 체감 생산활동 제약 정도가 13.6%, 실내 근무자는 5.7%였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미세먼지가 일상화하면서 이에 대처하기 위한 가계 지출 비용은 가구당 월평균 2만1260원으로 조사됐다. 2017년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액(256만원)의 0.83%를 차지한다. 미세먼지 지출은 30·40대와 고소득층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가구는 월평균 2만5780원, 40대 가구는 2만3720원을 썼다. 소득수준별로는 월 소득 500만원대 가구가 2만6040원을 쓴 반면, 월 소득 200만원 미만 가구는 1만590원만 지출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55%의 응답자가 ‘있다’고 대답했다.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에선 20대와 고소득층의 지불의사 비용이 높게 나타났다. 20대는 평균 5452원을 낼 수 있다고 답했지만 60대 이상은 평균 3696원을 낼 수 있다고 답했다. 소득수준별로는 월 소득 600만원 이상인 응답자가 평균 6120원을 낼 수 있다고 답했고,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응답자의 평균 지불의사 비용은 3808원이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미세먼지로 인해 불편을 호소한 응답자는 전체의 87.2%에 달했다. 일상생활에 미친 변화를 묻는 지문에는 37%가 ‘실내활동 증가’라고 답했고, 31%는 ‘마스크 착용’을 들었다. 미세먼지로 인한 가장 심각한 피해로는 ‘건강 악화’(59.8%)가 꼽혔다. ‘실외활동 제약’(23.5%), ‘스트레스 증가’(10.3%), ‘공기청정기·마스크 등 비용 증가’(4.7%)라는 응답도 나왔다.

미세먼지의 원인에 대해서는 ‘중국 등 주변국의 영향’(73.8%)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경유차 등 자동차 배출가스’(10.5%), ‘석탄화력발전소 등 에너지산업’(6.0%)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선 ‘중국 등 주변국과 공동연구를 통한 과학적 규명’(67.9%)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보고서를 작성한 민지원 경제연구실 연구원은 “미세먼지 원인에 대해 중국 등 주변국의 영향, 서해안 석탄화력발전소 등 다양한 주장이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며 “주변국과의 공동연구를 통한 대기오염 상호영향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은 미세먼지에 대응할 여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취약계층을 위한 공기정화시설 지원과 마스크 보급 등 부담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동현 기자 offram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