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한잔에 50만원?…‘우주서 볶은 커피콩’ 뭐가 다르길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커피콩, 로케트 이미지 사진. [프리큐레이션]

커피콩, 로케트 이미지 사진. [프리큐레이션]

우주에서 볶은 콩으로 내린 이른바 ‘우주커피’가 이르면 내년 중 시장에 나올 예정이다. 우주에서 대기권으로 들어올 때 발생하는 높은 열로 볶은 콩으로 내린 커피다.

14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2017년 창업한 미국 벤처기업 ‘스페이스 로스터스’사는 오는 2020년 자체 개발한 캡슐에 유기농 커피콩을 담아 로켓으로 쏘아 올리겠다고 발표했다.

캡슐은 고도 180~200㎞ 우주에서 분리돼 낙하하다가 대기권에 재진입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고열로 캡슐 안에 있는 커피가 볶아진다. 대기권 재진입 때에는 엄청난 열이 발생하지만, 캡슐 내부는 200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 캡슐에는 75㎏들이 실린더 4개가 들어가고, 대기권 재진입 때 발생하는 열이 실린더 주위에 전달된다. 무중력 상태에 떠 있는 상태에서 볶아지기 때문에 커피콩에 열이 균등하게 전달될 것이라는 게 개발자들의 설명이다. 커피를 볶는 과정은 20분 만에 끝난다.

하템 알카프지 최고경영자 등 경영진은 “지상에서 볶으면 열이 표면에 닿아 콩이 눌기도 하지만 무중력 상태에서는 열이 균등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완벽한 볶기’가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이 콩으로 내린 첫 번째 커피는 창업자의 출신국인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출시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작년 가을 세계 최대의 우주 관련 학술회의에서 ‘우주커피’ 계획을 발표하면서 올해 2월부터 사전예약을 받겠다고 자료를 통해 발표했다.

다만 아직 가격은 밝히지 않았다. 일부 언론은 로켓 발사비용만 계산해도 커피 한 잔 값이 20만원, 기타 부대비용 등을 고려하면 50만원 정도가 될 것으로 추산했다.

한편 스페이스 로스터스사의 이런 계획에 대해서는 미국 우주개발전문지 '스페이스 뉴스 닷컴' 베테랑 기자조차 "경제적, 기술적으로 의미가 있는지 의문"이라며 황당해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