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개입 폭동, 유공자 괴물" 정치권 뒤흔든 '5·18 망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8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5.18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에서 지만원씨가 5.18 북한군 개입 여부와 관련해 발표를 하려 하자 5.18 관련 단체 관계자들이 항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8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5.18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에서 지만원씨가 5.18 북한군 개입 여부와 관련해 발표를 하려 하자 5.18 관련 단체 관계자들이 항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때아닌 5·18 공방이 2월 정치권을 흔들고 있다. 휴일인 10일 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 등은 일제히 자유한국당을 비판하는 성명을 냈다. 한국당 김진태·이종명·김순례 의원이 지난 8일 ‘5·18 공청회’를 열어 5·18 민주화운동을 “북한군이 개입한 폭동”이라는 취지로 주장한 것에 대한 것이다.

평화당 "학살자 후예" 민주당 "최악 난장판"···한국당은 곤혹

광주를 기반으로 한 평화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긴급 최고위원회를 열었다. ‘한국당 5·18 망언 대책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하고 법적 조치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위는 한국당 의원들이 공청회에서 ‘5·18에 북한군이 개입했다’고 하거나 ‘5·18 유공자가 세금 축내는 괴물’이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명예훼손 등 혐의로 고소·고발하기로 했다.

평화당 김정현 대변인은 “한국당 김진태·이종명·김순례 의원을 국회 윤리위에 제소키로 했다”고 말했다. 5·18 민주화 유공자인 평화당 최경환 의원은 앞서 지난 8일 논평에서 “자유한국당이 아무리 태극기 부대를 앞세워 5·18을 왜곡하고 진상조사를 방해하려고 해도 결코 성공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연합뉴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연합뉴스]

정동영 평화당 대표는 “5·18 정신을 짓밟은 것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을 향해서도 “한국당은 학살자의 후예인지 정체성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 '전두환씨'를 영웅이라 칭하는 사람과 한 무리가 돼 5·18 관련 가짜뉴스를 확대재생산하는 한국당의 본질은 무엇인지 국민 앞에 밝히라”고도 했다. 장병완 원내대표는 “소속 의원들의 발언을 방조한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역사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다'는 황당한 주장을 늘어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제1정책조정위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김진태, 김순례, 이종명 의원 등이 8일 주최한 5·18 공청회는 최소한의 정치적 금도마저 저버린 최악의 난장판이었다”며 “이들에 대한 의원직 제명과 국회법 절차에 따른 모든 수단을 동원해 민주화 왜곡 시도에 쐐기를 박겠다”고 말했다. 또 “쿠데타 학살 세력의 후예임을 당당히 자처하는 이들은 국민의 대표가 돼서도 안 된다”고 덧붙였다.

자유한국당은 곤혹스러운 상황이다. 당의 공식 입장은 아니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유보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5·18은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 발전의 밑거름이 된 사건”이라며 세 의원의 발언을 비판하는 취지의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8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6차 상임전국위원회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있다. 변선구 기자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8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6차 상임전국위원회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있다. 변선구 기자

김 위원장은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민주주의는 6·25 호국영령, 4·19 민주 영령과 함께 5·18 광주의 민주 영령들에게도 큰 빚을 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김영삼 전 대통령은 대국민 특별담화에서 '문민정부는 5·18 민주화운동의 연장선에 있는 민주정부'라고 말했다”며 “한국당은 기본적으로 5·18에 관한 문민정부의 역사적 결단을 존중하고 계승할 책무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5·18은 1993년 우리 정부가 국가기념일로 지정한 이래 매년 정부 주최 기념식을 통해 여야가 함께 기념해온 사건”이라며 “그렇다면 적어도 정치권만큼은 그 역사 정신을 존중하는 게 국민통합 차원에서 옳은 일”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당이 조금은 오른쪽으로, 또 조금은 왼쪽으로 움직일 수는 있다. 그러나 어떤 논란이 우리 당을 과거의 프레임에 옭아매거나 그로 인해 보수통합이 저해되는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라고도 했다.

윤성민 기자 yoon.sung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