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딥 러닝 아버지’의 충고 “AI 연구 3차 겨울은 한국에 기회”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618호 04면

[SPECIAL REPORT] 인공지능 ‘메디치 전략’

“난 행운아다.”

60년대 NHK서 조건 없는 후원 #마음껏 AI에 몰두 “나는 행운아” #일본도 80년대 들어선 결과 중시 #미 국방부·CIA 등도 돈줄 죄어 #멀리 내다보고 기초연구 늘려야

‘딥 러닝(Deep Learning)의 아버지’ 후쿠시마 구니히코 일본 퍼지논리시스템연구소 수석 과학자가 한 말이다. 그는 영미권에서 연구비가 줄어 연구자들이 힘겨워할 때 인공지능(AI)의 기초 분야를 탐험했다. 그는 1960~70년대 기계가 사람의 손글씨를 인식할 수 있는 이론을 개발했다. 그런데 그는 서울시와 KAIST가 연 글로벌AI콘퍼런스에 참석차 한국을 방문 중에 자신은 운 좋은 사람이라고 했다. 귀가 솔깃했다. 중앙SUNDAY가 그를 따로 만난 이유다.

세상의 관심이 멀어지면 연구자금도 지원받기 어렵지 않나.
“난 행운아다. 60년대 로봇 연구는 많은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그런데 그때 NHK는 지금과는 달리 돈이 많았다. 연구자금을 지원받는 일이 어렵지 않았다.”
NHK라고 했나? 일본 국영 방송사에서 AI 연구를 했다는 게 놀랍다.
“하하! 맞다. NHK는 방송사다. 애초 난 교토대학에서 전자공학을 공부한 뒤 NHK 오사카지국의 주조정실에서 일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날 NHK 부설 연구소로 발령받았다. 그때 개인적으로 품고 있던 AI 연구를 하기 시작했다.”
방송기술 연구도 아니고, NHK가 AI 연구를 허락했다는 게 흥미롭다.
“내가 연구소를 출근한 첫날 소장과 면담했다. 그가 소장 자리 뒤편에 있는 NHK 로고를 가리키며 ‘저 NHK는 잊어버려도 좋다!’며 ‘정말 하고 싶은 연구를 해 봐라!’라고 말했다.”
NHK가 중간에 연구 결과를 보고하라고 하거나 중간 점검을 하지 않았나.
“그런 절차는 있었다. 하지만 요즘처럼 연구 결과를 일정 기간 안에 꼭 내야 하는 상황은 아니었다.”

당시 NHK는 르네상스 메디치 가문 닮아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후쿠시마 교수는 “그 시절 NHK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과 비슷했다”고 말했다. 메디치 가문은 무역과 금융으로 번 돈을 바탕으로 당장 이익이 되지 않는 과학과 예술에도 많은 돈을 후원했다.

사실 NHK처럼 먼 미래를 보고 기초과학 연구에 투자하는 일본을 많은 한국인이 부러워한다.
“요즘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 중앙과 지방 정부의 연구기금이나 기업의 후원을 받으려면 3~5년 안에 구체적인 연구 성과가 나올 수 있어야 한다. 요즘 후배 연구자들이 결과가 불확실한 기초 연구에 나서기 힘든 이유다. 난 행운아였다.”
연구기금과 기업이 언제부터 연구결과를 중시하기 시작했나.
“오래 됐다. 80년대 중반 이후다. 일본 경제가 좋지 않은 90년대 중반부터는 결과를 더 중시하기 시작했다. 요즘 NHK는 AI 연구에 투자하고 있지만 주로 2020년 도쿄올림픽에 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초보다 응용 부문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요즘 일본 과학계 “10년 뒤 노벨상 힘들 것”

최근 일본 과학자들이 노벨상을 받았다. 기초과학 투자 덕분이 아닌가.
“요즘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는 연구 지원이 활발한 70년대 전후에 탐구에 몰두한 사람들이다. 그때는 일본 정부와 기업들이 기초과학 연구에 관심이 많았다. 하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다. 요즘 일본 과학자들이 ‘10~20년 뒤에 일본인이 노벨상 받기 힘들 수 있다’고 걱정하는 까닭이다.”

후쿠시마 교수의 연구 결과는 이른바 1차 ‘AI 겨울’을 끝내는 계기가 됐다. 겨울 동안 AI에 대한 세상의 관심과 자금 지원이 확 줄었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연구가 거의 답보상태였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빠른 경제성장 덕분에 NHK 등이 AI 연구를 지원했다. 후쿠시마 교수는 “조건이 없는 자금(cash with no strings attached)이 많았던 시절”이라고 회고했다. 그 바람에 일본은 2차 붐 시절에 세계 AI 개발을 주도했다.

AI 연구 붐과 겨울이 교차하는 게 흥미로웠다. 왜 그랬는지가 궁금하다.
“인간의 뇌를 모델화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터 등이 갖춰져야 한다. 1950~60년대 1차 붐 때 당장 로봇 같은 것이 탄생할 줄 알았다. 실상은 그렇지 못했다.”
1차 붐 때 연구비는 주로 누가 댔나.
“그때는 냉전이 한창이었다. 미 펜타곤(국방부)과 CIA(중앙정보국) 등이 자금을 지원했다. 내가 듣기로는 CIA가 러시아어를 즉시 영어로 통역해 줄 AI를 원했다. 하지만 이론적으론 가능했지만 제품화하기엔 장애가 많았다.”
소형 컴퓨터가 가능한 80년대 말 이후엔 왜 AI 연구가 동면에 빠졌나.
“영국 정부가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해 각종 연구기금의 성과를 재평가했다. 그때 AI 연구는 자금 투입 대비 성과가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미국에서도 비슷한 생각이 퍼졌다. 다시 연구비가 줄어들었다.”
현재 AI 붐도 한계에 봉착할까.
“그럴 수 있다. 미래를 누구도 알 수 없지만, 기대와 성과 사이에 간극이 큰 분야가 AI다. 3차 AI 겨울이 찾아온다고 경고하는 사람이 적지 않은 이유다.”
한국은 어떻게 해야 할까.
“AI 신경생리학 등 기초 분야에 꾸준한 투자가 중요하다. 일본이 미국이나 영국보다 늦게 로봇 개발에 나섰다. 하지만 미국 등 서방이 연구자금을 줄일 때 일본은 유지했다. 한국도 3차 AI 겨울이 다가오면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 한국 정부가 응용 분야보다 기초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면 차기 AI 붐을 주도할 수 있다.”

강남규 기자 dismal@joongang.co.kr

후쿠시마 구니히코(福島邦彦) 일본 교토대학에서 1958년 전자공학 학사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8년 뒤인 66년에 교토대학에서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런데 실제 AI 연구는 NHK 방송 연구원으로 65년에 시작했다. 그는 “내 머릿속에서는 69년에 딥 러닝 기초 개념이 정리됐다”고 말했다. 현재 그는 신경망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