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분기, 가계는 집 사느라 여윳돈 빡빡, 정부 곳간은 두둑

중앙일보

입력

서울 강남 일대 주거 단지의 모습. [중앙포토]

서울 강남 일대 주거 단지의 모습. [중앙포토]

 돈 빌려 집 사느라 살림살이 빡빡해진 가계. 투자 줄이며 돈 덜 빌린 기업. 오히려 곳간은 두둑해진 정부. 지난해 3분기 경제주체별 재무제표를 단순히 요약하면 이렇게 분석된다.

지난해 3분기 자금순환 통계 #기업, 투자줄이며 돈 덜 빌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18년 3분기 자금순환’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국내부문의 순자금운용 규모는 28조2000억원이었다. 전분기(14조원)보다는 늘어났다.

 자금순환은 국가 경제 전체의 재무제표 성격의 통계로 각 주체간 금융거래(자금흐름)을 파악한 것이다.

 순자금 운용은 예금ㆍ보험ㆍ주식투자 등으로 굴린 돈(운용자금)에서 빌린 돈(조달자금)을 뺀 금액으로, 경제 주체의 여유자금으로 볼 수 있다. 기업은 일반적으로 빌린 돈이 더 많기 때문에 순자금조달 규모로 파악한다.

 집 사느라 허리가 휜 탓에 가계의 여유자금은 제자리걸음을 했다. 지난해 3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 운용규모는 11조원으로 전분기와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이 수치는 2017년 3분기(9조7000억원) 이후 최저치다. 2009~2017년 3분기 평균(13조6000억원)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박동준 한국은행 자금순환팀장은 “가계의 신규 주택구입이 이어지면서 순자금운용 규모가 예년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의 자금 수요는 줄어들었다. 비금융법인기업의 순자금조달규모는 7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15조4000억원)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 조정과 한국전력 등 일부 공기업의 영업이익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곳간은 더 두둑해졌다. 지난해 3분기 일반정부의 순자금운용 규모는 17조9000억원으로 전분기(13조1000억원)보다 늘어났다. 일반정부에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회보장기금이 포함된다.

 한국은행은 “정부가 상반기에 재정을 조기집행함에 따라 하반기 지출 규모가 줄어들며 자금 잉여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며 “일반정부에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기금이 포함된 탓에 순자금운용 규모가 많은 것으로 보이는 것 뿐”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9월말 기준 총금융자산은 1경7315조4000억원으로 전분기말보다 167조6000억원 증가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자산/금융부채 배율은 2.14로 전분기말(2.15배)보다 소폭 하락했다. 이 수치는 2012년 2분기(2.14배) 이후 가장 낮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