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임종석 실장 설 전후 교체설…“문 대통령, 타이밍 고민 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의 교체설에 정가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여권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설 연휴(2월 초)를 전후해 청와대 참모진을 개편할 경우 임 실장이 포함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비서실장 맡은지 19개월 지나 #청와대 “경질 아닌 쇄신용 인사” #후임 노영민·우윤근·정동채 거론

임 실장은 이날 ‘청와대 특별감찰반 민간인 사찰’논란과 관련해 출석한 국회 운영위에서 특감반 운영에 대한 비서실장 책임론이 불거지자 “무한한 책임감을 느끼고 언제든 비서실장으로서 필요한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물론 임 실장의 말은 이번 사건에 국한된 답변이었다. 그러나 청와대에선 “임 실장은 이미 처음 계획했던 임기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문 대통령이 경질이 아닌 쇄신용 교체를 위한 타이밍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는 말이 나온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전 직원들에게 생중계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일이 손에 익게 되면 요령이 생기고 긴장이 풀어질 수 있다. 다시 기본으로 돌아가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여당이 압승했던 지난 6월 지방선거 직후인 6월 18일 수보회의를 생중계로 공개한 적이 있다. 그는 당시에 “지방선거에서 받은 높은 지지는 등골이 서늘해지는, 등에서 식은땀이 나는 정도의 두려움”이라며 초심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핵심인사는 “지방선거 때는 자만심을 경계하는 의미의 초심이었지만, 이번엔 쇄신의 의미”라며 “사실 초대 참모진이 지칠 시기인 1년 6개월을 첫 임기로 한다는 것은 정부 초기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임 실장의 재직 기간은 이미 1년 7개월을 넘어섰다. 김영삼 정부 이후 초대 대통령 비서실장 가운데는 김영삼 정부때 박관용(1년 10개월) 비서실장과 김대중 정부의 김중권(1년 9개월) 비서실장의 임기가 가장 긴 축에 속한다. 여권 일각에서 거론되는 2월 개편이 이뤄지면 임 실장의 임기 역시 이들과 비슷해지는 셈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임 실장의 교체가 경질이 아닌 쇄신이 되려면 임 실장이 맡고 있는 남북공동선언이행추진위원장으로서의 성과가 중요하다”며 “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이 무산된 상태에서 김 위원장의 친서를 전격 공개한 것도 관련이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또 다른 핵심 인사는 “이미 정부의 1기로 설정했던 혁신기(2017년 5월~2018년)를 지났기 때문에 비서실장을 시작으로 2기 도약기(2019~2020년)에 맞는 대규모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문 대통령이 연일 ‘성과’를 강조하는 것도 이에 맞는 새 진용을 짜겠다는 뜻”이라고 전했다.

여권에서는 “각 부처가 최대한의 성과를 내도록 할 실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해이해진 기강을 다잡을 힘있는 실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함께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노영민 주중 대사와 우윤근 주러시아 대사가 차기 비서실장 1순위 그룹이다. 그러나 반론도 있다. 여권 핵심 인사는 “노 대사 등 지나친 친문 성향 인사가 실장이 될 경우 2020년 총선을 청와대가 주도하는 그림이 될 수밖에 없어 쇄신과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며 “우 대사 역시 진위와 무관하게 김태우 사건으로 상처를 입은 상태”라고 말했다.

정동채 전 문화관광부 장관을 주목하는 의견도 있다. 그는 내각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데다 대선 때 지지자 그룹인 ‘더불어포럼’의 대표로 조직을 관리했다. 다만 2010년 지방선거에서 불법 정지자금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경력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한 여권 인사는 “그동안 메시지 혼선이 반복됐던 것은 대통령의 생각을 아는 참모가 부족했기 때문”이라며 “대통령과 정치를 오래한 인사들을 중심으로 차라리 측근을 기용하는 편이 낫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여기에 해당하는 인사들은 윤태영 전 청와대 연설기록비서관과 양정철 전 홍보기획비서관 등이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