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태」발단서 진압까지 109일|작년 12월 상여금 협상 등 결렬 전면 파업|노사대립·노노갈등…끝내는 공권력 개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지난해 12월12일 단체협약결렬에 따라 노조의 전면파업으로 시작된 현대중공업사태는 「노노분쟁·폭력충돌·외부세력연계」등 우리노동운동의 고질적인 악순환 과정을 밟아 끝내 공권력개입으로 마무리됐다.
1백9일이나 계속된 장기파업으로 회사·파업근로자양측 모두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했고 지역경제를 침체시키는 등 주름살은 깊고도 크다.

<분규>지난해 6월8일부터 1백36개의 단체협약안을 놓고 협상을 시작한 노사양측은 6개월간 99차례 협상을 가졌으나△상여금1백% 추가인상△퇴직금누진제△제수당지급△토요일오전근무제(주44시간) 등 4개항에서 의견을 좁히지 못해 협상이 결렬됐다.
회사측은 쟁점인 상여금 1백% 추가인상 대신 생산장려금 12만원과 월1만원씩의 생산수당지급안을 제시했으나 노조측은 이를 거부하고 조합원 찬반투표를 거쳐 파업에 들어갔다.

<파업>파업1주일만에 서대수 노조위원장(44)이 「선조업 후협상」을 주장, 조업재개결정을 내리면서 분규는 양상이 바뀌었다. 일부 조합원들이 들고일어나 이원건부위원장(38) 등 파업주장근로자들끼리 「비상대책위」를 구성, 이씨를 새 위원장으로 「비공식」선출하고「선협상 후타결」을 내건 채 파업을 강행했다.
노사간의 이견에다 이 같은 노조내부의 갈등이 겹쳐 사태는 복잡해졌고 파업은 장기화 수렁으로 빠져들었다.
회사측은 노조의 파업에 대응, 올 1욀6일 휴업공고를 했다. 그 뒤 몇차례 조업재개를 시도했으나 대화를 통한 타결보다는 구사대동원 등 변칙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다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켰다.
1월8일 새벽 현대그룹 한유동전무가 직접 개입된 「석남산장현대정공근로자테러사건」은 근로자들을 파업동조쪽으로 기울게한 대표적인 악수였다. 이 같은 과정에서 지난해 12월26일 노무현의원(민주)이 농성장에 가 지원연설을 해 논란을 빚기도 했고 1월15일 재야운동단체들이 합세해 「노동운동탄압분쇄 및 폭력테러만행규탄 전국노동자대회」를 가졌는가하면 최근 대학생과 재야인사들의 잦은 지원방문으로 노조활동이 외부와 연대투쟁으로 확산되는 조짐도 보였다.

<충돌>조업재개를 놓고 노사·노노간의 10여 차례 층돌로 근로자와 회사측 쌍방에서 3백50여명이 다쳤다. 파업근로자들은 단결력을 과시하기 위해 회사안에 텐트를 치고 숙영농성까지 벌였다.
잇단 충돌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현노조측은 3월23일 이원건씨 등 34명의 제명을 포함, 98명을 징계하고 회사측은 파업주도근로자 55명을 전격 해고시켰다.
이에 맞서 파업지도부는 정주영 현대그룹명예회장과 정몽준 현대중공업회장·박재면사장 등 3명을 불법노동행위로 고발하고 충돌과 관련, 회사간부 등 1백여명을 폭력행위혐의로 고발했다.
회사측도 파업주도근로자를 상대로 고소로 대응해 회사측고소만 1백64건에 이른다.

<피해>회사측은 이번 사태로 모두 4천5백85억원(하루평균40억원)의 매출손실을 입었고 공정지연으로 인한 페널티지급 등 추가 손실이 9백62억원에 달한다고 밝히고있다.
또 근로자들은 회사측의 「무노동무임금」원칙으로 지난해 12원 이후 3개월간 77억원의 임금을 받지 못해 생계위협을 받고 있으며 현대중공업에 의존하고있는 하청업체들의 도산도 잇따르고 있다. 지금까지 6백여 납품업체가 도산하거나 조업중단상태이며 이에 따라 2만여종업원이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울산∥허상천·김동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