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들이 화났다 … 문 대통령 평가, 부정 48% 긍정 44%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613호 01면

한국갤럽이 7일 발표한 문재인 대통령 지지도 정례조사에서 우선 대통령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평가는 49%(부정평가 41%)를 기록, 지난 9월 첫째 주(긍정 49%, 부정 42%)와 똑같은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문 대통령 지지율은 평양 남북 정상회담 이후 65%(10월 둘째 주)까지 올랐지만 약 두 달 만에 ‘북풍(北風)’ 효과가 소진된 셈이다. 특히 성별 지지율 양상이 달라 남성의 경우 부정 평가가 48%로 긍정 평가(44%)보다 4%포인트 높았다. 남성만 놓고 보면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앞지르는 ‘데드 크로스(Dead Cross)’가 처음 발생한 것이다. 반면 여성은 긍정 평가가 53%로 부정 평가(34%)보다 훨씬 우세했다. 문재인 정부 초부터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성의 대통령 지지율이 남성보다 다소 높긴 했지만 이렇게 성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은 이례적이다.

정치분석가인 정치컨설팅그룹 민의 박성민 대표는 “전통적으로 지역·이념 갈등이 있었는데 최근 세대·계층 갈등이 커지는 추세”라며 “새로운 양상으로 ‘젠더’(성별) 차도 데이터 상으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도 정체성 정치가 본격화되는 신호로 보인다”고 말했다.

남성은 지난주에 비해 지지율이 7%포인트(51→44%) 빠지며 전체 지지율 하락을 견인했다. 여성은 상대적으로 문 대통령 지지율이 견고하다. 전주 대비 지지율도 2%포인트(55→53%) 하락에 그쳤다.

남성들의 지지율 이탈 배경엔 젠더 이슈를 비롯해 일자리·안보 등 현 정부의 정책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가상준 단국대 교수는 “피부로 느끼는 경기 체감이 지지층 이탈을 낳고 있다”고 말했다. 취업 전선에 있는 20~30대 남성이나 집안 경제를 책임지는 중년 남성의 지지율 하락은 경기 부진의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이 남북관계 이슈를 집중 챙기고 있는 게 거꾸로 안보에 민감한 남성들의 반발을 부른다는 분석도 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군 가산점제 등 군 복무에 대한 보상도 없어 여성에 비해 상대적 박탈감이 상당하다”고 말했다.

이에 비해 여성 전체의 지지율은 긍정 53%, 부정 34%지만 가정주부층은 긍정 43%, 부정 42%로 비슷했다. 여성 중에서 ‘젠더 이슈’에 더욱 민감한 학생·화이트칼라 계층이 강한 지지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 수준)에 응답률은 15%다.

현일훈 기자 hyun.il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