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산하 각종 위원회 특정 종교에 편향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불교계는 사회적 영향력이 큰 각종 위원회나 불교 관련 정부 기관 자문 위원회 등에 불교계 인사가 소외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이의 시정을 위해 정부·정당 등에 건의문을 보내는 한편 강력한 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불교 조계종은 지난 3, 4일 이틀간 열린 중앙 종회에서 방송위원회·교육 개혁 심의 위원회·국립 공원 위원회 등 각종 위원회에 불교계 인사의 참여가 극소수인 점을 지적하고 이의 시정을 정부·정당 등에 정식 촉구키로 했다.
조계종 종회는 특히 최근 영향력이 커진 방송 위원회 문제를 심각하게 논의하고 『방송 위원회의 경우 위원장이 특정 종교인으로 방송의 종교적 편파성이 우려된다』고 말하고 『방송 위원회 산하의 방송 심의 위원회에 불교계 인사 참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전 종도와 함께 위원장 퇴진 운동을 벌여 나가겠다』고 결의했다.
조계종 종회는 또 최근 이상구 박사의 건강 프로그램이 KBS를 통해 장기 프로그램으로 방영된 것을 거론하고 『특정 종교의 선교 차원으로까지 나아간 장기 프로그램을 방송 위원회가 묵과하고 있는 것은 방송의 공공성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불교계는 방송 위원회·방송 심의 위원회에 특정 종교인이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불교나 민족 종교인의 참여는 극소수에 불과하여 개연성의 차원에서라도 편파성의 우려를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교육 개혁 심의 위원회에서도 불교계는 그 사회적 영향력에 비해 소수의 위원 밖에 참여하지 못해 불교의 사회적 역할을 다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국립 공원 위원회의 경우 불교인의 참여가 없어 교단의 반발이 크다.
국립 공원 전체 면적의 60%이상이 사찰 소유임에도 불구하고 국립공원의 시설·운영을 맡은 국립 공원 위원회의 이사 20인 중 승려가 1명도 없고 비상근 이사로 겨우 1명이 참여하고 있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불교계는 국립 공원 위원회에 의해 국립 공원 내 사찰의 포교와 사찰 발전을 위한 시설 등이 심하게 제한 받고 있다면서 위원회 구성에 불교인들의 참여가 많아져 실정에 맞는 국립 공원 행정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불교계의 이 같은 각종 위원회에의 참여 주장은 이들 위원회가 전문 지식을 갖춘 인사들로 구성되어 종교적 배경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일반론에도 불구하고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불교계의 반발은 다 종교 사회에서 사회적 영향력이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구의 인적 구성이 특정 종교에 편향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사례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민족 종교의 한 종단에서 「보도의 공정을 위한 방송 위원회 구성에 관한 청원」을 대통령 앞으로 내기도 했다. < 임재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