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부분 정육점서 물 먹인 쇠고기 판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식육업계의 고질적 병폐인 물 먹인 쇠고기를 근절시키기 위해서는 강제 급수부 정육에 대한검사기준을 제정하는 한편 소비자들은 냉동육 대신 냉장육을 사 먹도록 하자는 방안이 제시됐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회장 김동환)은 20일 오후2시 프레스센터에서 행정당국·학계·업계·소비자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강제 급수쇠고기 유통 근절 대책 세미나」를 열었다.
시민의 모임이 최근 서울시내 24개 정육점에서 구입한 28개 불고기 감을 대상으로 쇠고기 물 함유량 검사를 실시한 결과 5개 업소의 쇠고기가 10%이상의 수분감량을 나타냈으며 18개 한우판매 정육점의 72%가 쇠고기 수분 감량이 4%이상을 기록, 대부분의 정육점에서 여전히 물 먹인 쇠고기를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근택 교수(강릉대·식품과학)는『종류·부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녹아서 빠져나오는 유리수로 인한 감량은 1∼3%가 정상육』이라고 말하고『반면 물 먹인 쇠고기의 경우 해동감량은 무려 30%를 넘기도 한다』고 지적. 또 조리과정에서 정상육은 30%의 감량을 보이나 물 먹인 쇠고기는 40%의 감량을 가져와 통상 결과적으로 이같은 부정육은 정상육보다 2배 비싼 셈이 된다는 것.
이 교수는 이를 막기 위해 ▲부위별 차등 가격제를 정착시켜 육질에 대한 품질차이·가격차이를 인정할 것 ▲물 먹인 쇠고기 검사방법 도입 등을 주장하고 5분 후 유리수 배출 면적으로 급수여부를 관별할 수 있는 그라우함 측정기를 선보이기도 했다.
이 교수는 소비자들의 냉동육 선호가 물 먹인 쇠고기 유통을 결과적으로 돕고 있다고 지적, 맛·영양면에서도 앞서는 신선육을 사 먹을 것을 권유했다.
농림수산부 가축위생과 조남인 계장은『도축 전 7시간 이상 계류와 도체를 4등분하는 것이 철저히 지켜지도록 지도·단속해 강제급수가 이뤄지지 않도록 하고 축산물 검사원의 순환 근무제·복수 배치를 실시해 업무를 철저히 수행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품종·나이·부위에 따라 수분 함량이 다르다는 점을 들어 수분함량 기준을 정하는데는 난색을 표명.
서울시 가축위생과 이규학 계장은『지방에서 도축돼 서울로 반입되는 지방육에 부정육이 많다』고 말하고 자방육 반입, 수분 함유량 측정 등에 대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
축산기업 조합 중앙회 이영진 전무는『도체등급 기준이 없어 6개 도시 외에서는 지육상태로 거래될 수 없기 때문에 도살 후 강제급수가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
그는 단기대책으로 ▲강제 급수 검사방법 채택 ▲유통업자·소비자·당국으로 구성된 합동 조사반 구성 등을 제안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소비자가격 자율화 ▲도체 차등급제 ▲도체 수수료 현실화 ▲소비자들의 냉장육 구입 등 의견을 내놓았다.<홍은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