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탈북기자 취재배제에 “최종 판단은 제가 내렸다”

중앙일보

입력

조명균 통일부장관이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탈북민 출신 기자의 남북고위급회담 취재 제한 조치와 관련한 해명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조명균 통일부장관이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탈북민 출신 기자의 남북고위급회담 취재 제한 조치와 관련한 해명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15일 북한 이탈주민 김명성 조선일보 기자의 남북회담 취재가 제한된 것과 관련, 원만한 고위급회담 진행을 위해 불가피한 정책적 판단이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판문점에서 진행된 고위급회담 종료 뒤 남북회담본부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이런 상황이 발생해 아주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원만하게 고위급회담을 진행해서 평양공동선언 이행방안에 대해 합의를 도출하고 이행해나가야 되는 측면에서 불가피한 정책적 판단이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번 결정을 내린 주체와 관련, “유관부서와 상의는 했지만 최종적 판단과 결정은 제가 내렸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상황이 오면 같은 결정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사전에 좀 더 기자단과 절차적으로 협의하는 그런 부분들은 보완이 필요하지만 똑같은 상황이라면 같은 판단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회담을 위해) 떠나기 임박해서 같이 가지 못한다는 통보를 하고 그런 식이었던 것은 상당히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조 장관은 ‘탈북민 출신 기자를 차별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그리 이해할 수도 있을 텐데 차별이라는 것을 전제하고 했다기보다 장소적 특성, 회담 성격과 중요성, 상황, 관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그 부분을 더 크게 보고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급적 이런 제한 없이 탈북민도 나아가서 (취재)할 수 있는 상황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장관은 ‘북측이 문제를 제기하면 부당함을 지적하면 되지 않느냐’는 질문엔 “충분히 그런 비판을 제기할 수 있다”면서도 “저희가 우려하는 부분이 굉장히 커질 수밖에 없고 그런 해명을 하고 설명해서 넘어갈 수 있는 상황으로 그치지 않을 수도 있는 측면이 있어서 나름대로 그런 판단을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통일부는 이날 열린 고위급회담에 통일부 출입기자단을 대표해 취재할 예정이었던 김명성 기자의 취재를 불허해 논란이 일었다.

일각에서는 탈북민의 권리를 보호해야 할 통일부가 탈북민이라는 이유로 차별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온다.

통일부 기자단은 이에 ‘통일부의 탈북민 기자 취재 제한은 부당하다’는 제하의 입장문을 발표하고 조명균 장관에게 사과와 재발 방지를 약속할 것을 요구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